원어 항목명 | Korean American Society of Massachusetts |
---|---|
한자 | -韓人會 |
영문 | Korean American Society of Massachusetts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미국 매사추세츠주 워번 캠벨 스트리트 13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53년 |
---|---|
이전 시기/일시 | 2010년 |
개칭 시기/일시 | 2013년 |
개칭 시기/일시 | 2019년 7월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0월 9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현 소재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워번 캠벨 스트리트 13 |
원어 항목명 | Korean American Society of Massachusetts |
원어 주소 | 13 Campbell Street, Woburn, MA 01801, USA |
영문 주소 | 13 Campbell Street, Woburn, MA 01801, USA |
성격 | 한인회|비영리단체 |
전화 | 978-807-1622 |
홈페이지 | 매사추세츠 한인회(https://www.facebook.com/KASOM2021) |
1953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지역에서 설립된 한인 단체.
매사추세츠 한인회의 설립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인 간의 친목을 도모한다. 둘째, 이민 정착을 지원하여 한인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이룬다. 셋째, 한인의 권익을 옹호한다. 넷째, 한인 사회의 발전을 위해 미국과 한국 간의 교류를 지원한다.
1953년에 뉴잉글랜드 한인회로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회칙이나 조직이 갖추어지지 않은 명칭뿐인 단체였으며, 하버드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좌를 담당하던 전 서울대학교 박사 서두수가 뉴잉글랜드 한인 명부를 작성 배포함으로써 사실상 한인회장의 역할을 하였다. 보스턴 뉴잉글랜드 한인 사회는 유학생들이 많아서 보스턴 학생회가 한인회를 대신하여 활동하였다.
1967년 보스턴 학생회의 고광숙 회장 시절 한인 사회가 학생과 일반인으로 분열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한인회 총회에서 학생회를 한인회 산하에 두기로 결의한 1972년부터 뉴잉글랜드 한인회는 제대로 면모를 갖추고 활동하게 되었다. 1972년 강홍렬 회장 때 처음으로 한인회 정관을 만들어 간사와 이사 제도를 신설해 한인회가 정식 출범하였으며, 이때 동포 수는 약 2,000명이었다. 1977년 제12대 남궁연 회장 재임 시 매사추세츠주 워번에 한인회관 건립 계획이 수립되어 2010년에 완공되었다. 2013년에 보스턴 한인회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19년 7월에 매사추세츠 한인회로 명칭을 다시 바꾸었다.
매사추세츠 한인회의 주요 업무는 『한인회보』의 발행이다. 매주 발행하는 『한인회보』를 통해 동포들에게 미국 소식과 한국 소식은 물론 주요 활동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신년 행사와 연말 행사, 각종 문화 체육행사와 6.25전쟁, 3.1절, 8.15 광복절 등의 역사적인 기념일 행사와 경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최근 매사추세츠 한인회의 주요 활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1년부터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인 존 마크 램지어(John Mark Ramseyer)의 위안부 관련 논문 발표 이후 그의 주장을 반박, 규탄하기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한 미국 내 아시아인 대상 혐오범죄가 증가하자 ‘대응 매뉴얼’을 제작하여 한인 사회에 배포하는 등 권익옹호를 위한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그간 코로나19로 인해 문화 행사를 진행하지 못하다가 2021년 10월 9일 한글날을 기념하여 렉싱턴(Lexington) 소재 헤이스팅스 파크(Hastings Park)에서 김치 페스티벌을 개최하였다.
2021년 기준 매사추세츠 한인회의 회장은 서영애[제41대]이다.
매사추세츠 한인회는 한국전쟁 참전 용사를 초청하여 퍼레이드 진행과 만찬 제공 등을 하며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고 있으며, 한국의 전통문화인 사물놀이와 부채춤 등의 공연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의 발전상을 담은 홍보 동영상을 상영하여 한국전쟁 참전 용사들이 자긍심을 갖게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