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New Jersey Nail Association |
---|---|
한자 | -協會 |
영문 | New Jersey Nail Associ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미국 뉴저지주 리지필드 브로드 애비뉴 595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92년 11월 28일 |
---|---|
최초 설립지 | 미국 뉴저지주 |
현 소재지 | 미국 뉴저지주 리지필드 브로드 애비뉴 595 |
원어 항목명 | New Jersey Nail Association |
원어 주소 | 595 Broad Avenue Suite 18, Ridgefield, NJ 07657, USA |
영문 주소 | 595 Broad Avenue Suite 18, Ridgefield, NJ 07657, USA |
GPS 좌표 | 40.83407504482646, -74.01003290678047 |
성격 | 직능단체 |
전화 | 201-941-1180 |
홈페이지 | 뉴저지 네일협회(http://knailnj.com) |
1992년 미국 뉴저지주 리지필드에 설립된 뉴저지 최초의 한인 직능단체.
뉴저지 네일협회는 첫 사업으로 뉴저지 미용국을 방문하여 당시 네일업에서 불필요한 냉온수 설비를 갖춘 머리 감는 샴푸 시설, 머리 건조 시설, 미용 또는 이용 라이선스를 소지하고 해당 분야 3년 이상 종사한 경험이 있거나 미용국으로 부터 매니저 라이선스를 발급받은 사람이 근무하는 시간에만 영업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현행 법규 개정을 위한 활동에 들어갔다. 당시 많은 재미 한인 네일업체는 불필요한 미용 법규 사항에 걸려 1년에 수백 달러에서 수천 달러까지 벌금을 부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영업 취소까지 당하였다.
재미 한인 네일업체의 회원 간 친목을 도모하고 권익 신장, 공동 이익 추구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2년 11월 28일에 설립된 뉴저지 네일협회는 네일업체 면허 취득을 위한 한국어 시험 실시 등을 할 수 있는 조건과 방법을 뉴저지 미용국에 타진하였다. 그 결과 시설 문제와 매니저 기용 문제는 미용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한국어 시험은 우선 미용국 교재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어 교재로 교육할 수 있는 교육기관에서 미용국에 허가를 신청하여 미용국 보드 멤버 결정에 의한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뉴저지 네일협회는 대내외적 활동을 위하여 뉴저지 주정부에 비영리단체 등록을 필하고 불필요한 미용법 개정 등을 골자로 주정부 로비 활동을 협회 숙원 사업으로 추진하여 주의회 상원과 하원의원을 통한 로비 활동과 미용 교재 번역 작업을 하였다. 1년 후 미용 교재의 한글 번역이 끝나자 한국인이 운영하는 한미미용학원[교장 하철호]을 통해 번역본 책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고 미용국에 한국어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노력하고 한국어 강사 확보와 자체 연구 전담 기구도 만들었다.
뉴저지 네일협회는 미용법 설치 규정과 자격증에 관한 불필요한 요건들을 제거하고 네일업에 맞는 법규를 현실화했으며, 창립 1년 동안 뉴저지주 상원 및 하원에 정식 안건으로 제출하여 심의를 거치게 하였고 1995년 1월 상원에서[S-55] 먼저 개정법을 통과시켰으며 1995년 3월 13일 하원에서[A1488] 찬성 78표, 반대1 표, 무효 1표라는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하는 쾌거를 거두었다. 통과된 미용법 개정안은 네일 살롱에 한해서 머리 건조 시설, 냉온수 사용 샴푸 시설 및 뒤로 젖혀지는 의자 설치 조항 등은 삭제되고 네일 살롱업계 시설 부분에서 크게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미용 라이선스를 3년 이상 보유한 매니저를 기용해야만 영업을 할 수 있었던 것을 이제는 미용국에서 발급한 네일 라이선스를 소지하고 해당 분야 3년 이상 종사한 경험이 있는 매니저를 기용하면 영업을 할 수 있다.
불필요한 시설비와 미용 라이선스를 취득하기 위한 1,200시간과 교육비 7,000여 달러 등을 합치면 뉴저지 네일업계에서 얻는 절감 효과는 연 1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
뉴저지 네일협회의 미용법 개정 시도는 미국 역사상 소수민족 직능단체가 주정부를 상대로 법률 개정을 이룬 최초의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