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한인회

원어 항목명 Korean American Association of Greater New York
한자 -韓人會
영문 Korean American Association of Greater New York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지역 미국 뉴욕주 뉴욕시 웨스트 24번가 149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60년 6월 12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3년
현 소재지 미국 뉴욕주 뉴욕시 웨스트 24번가 149
원어 항목명 Korean American Association of Greater New York
원어 주소 149 West 24th Street #6, New York, NY 10011, USA
영문 주소 149 West 24th Street #6, New York, NY 10011, USA
GPS 좌표 40.74467879016829, -73.99432515767201
성격 한인회|비영리단체
전화 212-255-6969
홈페이지 뉴욕한인회(https://www.kaagny.org)
정의

1960년 미국 뉴욕 지역에서 설립된 한인 단체.

개설

미국 뉴욕 지역에는 뉴욕 한인회를 비롯하여 뉴욕 퀸즈 한인회, 브루클린 한인회, 스태튼아일랜드 한인회, 롱아일랜드 한인회, 맨해튼 한인회 등 여러 한인회가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다. 뉴욕 한인회는 이 중 가장 오래된 한인회로서 뉴욕 메트로폴리탄 일원에 거주하는 약 50만 한인 동포의 권익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한인 비영리단체이다. 지역사회의 직능, 봉사, 사회,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500개 이상의 한인 단체와 함께 한인의 미국 주류사회 진입을 견인하며 한인 동포의 권익을 신장하고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설립 목적

뉴욕 한인회는 미주 한인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적 지위를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일제 강점기인 1921년 컬럼비아대학교에 유학 중이던 조병욱이 뉴욕 거류 유학생 등의 한인들을 중심으로 한인회를 조직했고, 1924년 뉴욕 한인교민단이 출범하였다. 발기인으로는 안정수, 홍득수(洪得秀), 리봉수(李奉洙), 송세인(宋世仁), 신성구, 허정(許政), 라진일 등이 참여하였다. 광복 후 1949년 주뉴욕 총영사관의 주도로 뉴욕 한인회가 발족했으나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활동이 저조하였다. 1960년 뉴욕 한인교회에서 서상복을 초대 회장으로 하여 현재의 뉴욕 한인회가 창립되었고, 1973년 뉴욕주 정부로부터 비영리단체 인가를 받았다. 1983년 한인 공동체의 기부금으로 뉴욕 한인회관 건물을 인수했고, 2019년 6월 14일 6층에 미주 한인이민사박물관을 개장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뉴욕 한인회는 뉴욕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친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미국 사회에서의 실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매년 열리는 뉴욕시 코리안 퍼레이드 및 스트리트 페스티벌을 주관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뉴욕 시민들에게 한국 전통문화 공연과 한식 시식의 장을 마련하는 등 한국 문화 체험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2021년 1월 13일에는 온라인으로 ‘제61주년 뉴욕 한인의 밤’ 행사를 개최하여 올해의 한인상, 단체상 등을 발표하였다. 당시 문재인(文在寅) 대통령과 장원삼 주뉴욕 영사가 축사를 보내 왔고, 척 슈머 연방 상원의원, 그레이스 멩 연방 하원의원, 앤디 김 연방 하원의원 등의 현지 인사들도 영상으로 축하 메시지를 남겼다. 근래 미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증오 범죄에 대처하는 핫라인[Korean American Hate Crime Hotline]도 설치하여 운영해 오고 있다.

현황

뉴욕 한인회는 회장을 2년 임기로 하여 50만 한인이 직접 선거에 의해 선출하고 있으며, 2022년 현재 회장은 찰스 윤이 맡고 있다. 맨해튼 첼시에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의 뉴욕 한인회[KAAGNY] 본부 빌딩인 뉴욕 한인회관을 두고 있으며, 회관 운영을 위해 회관관리위원회를 두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글로벌 시대에 미국과 한국, 한국과 세계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연결하는 뉴욕 한인회의 중추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참고문헌
  • 『미주 한인이민 100년사』(한미동포재단·미주 한인이민 100주년 남가주기념사업회, 2002)
  • 임채완 외, 『재외 한인 단체의 형성과 현황』(집문당, 2007)
  • 『뉴욕한인회 50년사』(뉴욕한인회, 2010)
  • 이광규, 『뉴욕 한인 사회의 현상과 교육 문제』(북코리아, 2011)
  • 뉴욕한인회(https://www.kaagny.org)
  • 월드코리안뉴스(http://www.worldkorean.net)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