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창영

원어 항목명 Chang Yeong Lim
한자 林昌榮
영문 Chang Yeong Li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인물(일반)
지역 미국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9년 10월 30일
수학 시기/일시 1930년
수학 시기/일시 1930년
수학 시기/일시 1934년
수학 시기/일시 1934년
수학 시기/일시 1935년
수학 시기/일시 1942년
수학 시기/일시 1946년
활동 시기/일시 1936년
활동 시기/일시 1936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활동 시기/일시 1960년
활동 시기/일시 1961년
활동 시기/일시 1977년
활동 시기/일시 1977년
활동 시기/일시 1995년
몰년 시기/일시 1996년 1월 25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0년 1월 29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월 27일
출생지 황해도 운율군 구원리
거주|이주지 미국
학교|수학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학교|수학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루이즈버그
학교|수학지 미국 뉴욕주 뉴욕시
학교|수학지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활동지 미국
원어 항목명 Chang Yeong Lim
성격 민주 통일운동가|정치학자
성별
대표 경력 뉴욕주립대학교 정치학 교수|주 유엔 대사|미주 민주국민연합 설립자|조국통일범민족연합 해외본부 의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에서 건너간 재미 한인 1세대 민주 통일운동가이자 정치학자.

개설

임창영(林昌榮)[1909~1996]은 평양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선교사의 주선으로 도미하여 뉴욕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36년 뉴욕 한인교회 제4대 목사로 활동하였다. 1942년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에 들어가 헌법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교수로 재임하면서 민주화와 민족 통일운동 활동을 하였다.

가계

배우자는 이보배이다.

활동 사항

임창영은 1909년 10월 30일 황해도 은율군 구원리에서 태어났다. 1930년 평양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그해 6월 미국으로 건너가 펜실베이니아주 이스턴 라피엣대학(Lafayette College)에 입학하여 1934년에 졸업하였다. 1934년 버크넬대학교(Bucknell University)에 입학하여 1학기를 수학하였다. 1935년 뉴욕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전공하였으며, 1936년 동양인기독교학생연맹에 참가하여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뉴욕 한인교회 제4대 목사로 재직[1936~1942]하면서 목회 활동뿐 아니라 유학생, 교민의 체류 문제, 경제, 심리, 생활 전반에 관한 돌봄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0년 1월 29일 이보배와 결혼하였다.

1942년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하여 1946년 헌법 정치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같은 해 서재필(徐載弼)의 귀국이 성사되어 1948년까지 서재필의 비서로 활동하였으며, 서재필과 함께 미국으로 돌아가 피츠버그 채댐칼리지 및 오하이오주 머스킹햄칼리지에서 정치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60년 장면 정부의 유엔 대사로 부임을 받고 활동하다가 1961년 5.16군사정변 이후 사임하였다. 이후 뉴욕주립대학교 교수로 재직[1961~1978]하면서 미주 민주국민연합[미주민련] 결성[1977, 의장으로 활동], 민주민족통일해외한국인연합[한민련] 수석 의장[1977], 한겨레운동미주연합 상임 고문 등으로 활동하였고, 1995년 조국통일범민족연합 해외본부 의장을 맡는 등 반독재 민주화운동을 전개하며 조국의 민족 통일을 위해 활동하였다. 1996년 1월 25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치스코 알파베이츠병원에서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장례식은 같은 해 1월 27일 샌프란치스코 루터란교회에서 가족장으로 치러졌다.

저술 및 작품

저술로는 『위대한 선각자 서재필박사 전기』[공병우글자판연구소, 1987]와 「Dr. Jaisohn's Legacy」[『개화 독립 민주』, 서재필기념회, 2001], 「The Voice of the People[국민의 음성]」[『뉴스레터』, 1972~1974] 등이 있다.

참고문헌
  • 조종무, 『아메리카 대륙의 한인(韓人) 풍운아(風雲兒)들』상(조선일보사, 1987)
  • 최병헌, 『강변에 앉아 울었노라-뉴욕한인교회 70년사』(깊은샘, 1992)
  • 「진보적 국제주의자, 참다운 활동가로 살고 싶어요」(『민족21』, 2010)
  • 「유엔대사 임창영(林昌榮)씨 임명」(『동아일보』, 1960. 9. 16.)
  • 「유엔고문직 수락을 거부 임창영(林昌榮)씨」(『동아일보』, 1964. 11. 18.)
  • 「임창영(林昌榮)씨 평양 밀파 정상회담 타진 [남산의 부장들]185」(『동아일보』, 1994. 5. 1.)
  • 「전유엔대사 임창영씨 」(『한겨레신문』, 1996. 1. 28.)
  • 「뉴욕한인 청년들이 지킨 조국 독립의 역사 」(『한국일보』, 2021. 1. 2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