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Deok Sang Lim |
---|---|
한자 | 林德相 |
영문 | Deok Sang Lim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세계)/인물(일반) |
지역 | 미국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28년 |
---|---|
수학 시기/일시 | 1946년 |
수학 시기/일시 | 1955년 |
수학 시기/일시 | 1957년 |
활동 시기/일시 | 1955년 |
활동 시기/일시 | 1957년 |
활동 시기/일시 | 1959년 |
활동 시기/일시 | 1960년 |
활동 시기/일시 | 1965년 |
활동 시기/일시 | 1972년 |
활동 시기/일시 | 1972년 |
활동 시기/일시 | 1976년 |
활동 시기/일시 | 1978년 |
몰년 시기/일시 | 1982년 11월 18일 |
거주|이주지 | 미국 |
학교|수학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
학교|수학지 | 미국 인디애나주 |
활동지 | 미국 |
묘소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
원어 항목명 | Deok Sang Lim |
성격 | 수학자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수학과 교수|재미 한인과학기술자협회 장학 위원 |
미국에서 코호몰로지 연구 및 변형이론 연구로 대수기하학의 발전에 기여한 한인 수학자.
임덕상(林德相)[1928~1982년]은 서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1955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인디에나대학교 대학원에서 대수기하학을 공부하였다. 1965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재임하며 코호몰로지 연구, 변형이론 연구로 대수기하학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한국 현대 수학을 이끌 인재 양성을 위한 활동을 하였다.
배우자는 최희연이고, 자녀는 2남 1녀[임병철, 임병혜, 임병준]를 두었다.
임덕상은 1928년에 태어났다. 1946년 서울대학교 수학과에 입학하여 공부하였으며, 1955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같은 해 인디애나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하였다. 1957년에 인디애나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여 1960년까지 컬럼비아대학교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1959년 코호몰로지 대수에 관한 문제를 발표하였다. 1960년부터 1964년까지 브랜다이스대학교 부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후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수학과 교수 및 학과장을 역임하였다[1965~1982]. 1972년 변형이론 연구를 발표하였으며, 『Journal of Algebra[대수학 저널]』 편집위원 및 『AMS 저널』 편집장으로 활동하였다.
임덕상은 재미 한인 사회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1971년 창립된 재미 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의 초대 본부 평의원[1972~1975]을 지냈다. 서울대학교에서 1975년부터 5년간 재미 수학자들을 초청하여 진행한 수학 인재 양성 프로그램에 임덕상도 참여하여 1976년부터 1977년까지 대수기하학을 강의하였다.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재미 한인과학기술자협회 장학 위원을 역임하였으며, 제4대 필라델피아 한인회 회장과 서재필기념비건립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1982년 11월 18일 지병인 간암으로 사망하였다.
임덕상 묘소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의 웨스트 로렐힐 한인 공동묘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