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Sang Cheol Lee |
---|---|
영문 | Sang Cheol Lee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세계)/종교인 |
지역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24년 |
---|---|
수학 시기/일시 | 1947년 |
활동 시기/일시 | 1961년 |
활동 시기/일시 | 1961년 |
활동 시기/일시 | 1969년 |
활동 시기/일시 | 1988년 |
활동 시기/일시 | 1990년 |
활동 시기/일시 | 2007년 |
몰년 시기/일시 | 2017년 1월 28일 |
출생지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
학교|수학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1957년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으로 이전] |
활동지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시 |
원어 항목명 | Sang Cheol Lee |
성격 | 목사|인권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캐나다 연합교회 총회장|토론토대학교 빅토리아대학 명예 총장|토론토 한인인권옹호위원회 위원장 |
1961년 캐나다로 이주하여 한인 교회와 캐나다 연합교회 총회장 등을 역임한 목사이자 북미 인권운동가.
이상철[1924~2017]은 밴쿠버 한인회 초대 회장 및 토론토 한인인권옹호위원회 위원장, 재북미 한국민주화인권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한 인권운동가이자 목사이다.
이상철은 1924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에서 태어났다. 1947년 조선신학교[현 한신대학교]에서 공부하였고, 1961년에 캐나다로 이주하였다. 1965년부터 1966년까지 밴쿠버 한인회 초대 회장을 지냈고, 1969년부터 1989년까지 토론토 한인연합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하였다. 이상철은 목회 활동뿐만 아니라 토론토 한인인권옹호위원회 위원장과 재북미 한국민주화인권위원회 부위원장, 북미 한국민주화운동연합 의장 등을 지내며 사회 활동에도 활발히 참여하였다. 1988년부터 1990년까지 동양계로서는 처음으로 캐나다 연합교회 총회장을 역임하였으며, 1990년부터 1998년까지 토론토대학교 빅토리아대학의 명예 총장으로 활동하였다. 2017년 1월 28일 92세로 사망하였다.
이상철은 『죽은 신의 인문학』[돌베개, 2018]에서 현재 한국 기독교가 처한 참담한 실상을 정신병이라는 은유를 통해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타인과의 불화와 단절이 정신병의 증상”이라고 할 때 “우리 사회에서 한국 개신교가 벌이는 소동이 정신병의 증상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그 중심에 타자에 대한 혐오와 증오를 생산·강화하는 전진기지로 변해 버린 한국의 교회가 존재한다고 하였다. 또 분단체제하에서 발생하는 빨갱이 혐오가 “동성애 혐오, 이방인 혐오, 여성혐오 등”과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지적하며, 한국 교회가 그 같은 차별과 배제를 증폭하는 선봉에 서 있다고 비판하였다.
2007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