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리 해빌랜드 마틴

원어 항목명 Stanley Haviland Martin
영문 Stanley Haviland Marti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캐나다 뉴펀들랜드주 세인트존스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0년 7월 23일
활동 시기/일시 1913년
활동 시기/일시 1927년
몰년 시기/일시 1941년
추모 시기/일시 1968년
출생지 캐나다 뉴펀들랜드주 세인트존스
활동지 중국 길림성
활동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원어 항목명 Stanley Haviland Martin
성격 선교사|의사
성별
대표 경력 제창병원 원장
정의

일제 강점기 한국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간도참변을 세계에 알린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이자 의사.

개설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Stanley Haviland Martin)[1870~1941]은 캐나다에서 의학을 전공하고 중국 길림성 용정촌의 제창병원 원장으로 지내면서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간도참변(間島慘變)을 널리 알린 인물이다.

활동 사항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의 한국 이름은 민산해(閔山海)이다. 1870년 캐나다 뉴펀들랜드주 세인트존스에서 출생하였고 의학을 전공하였다. 1913년 캐나다 장로파 의료선교를 위해 중국 길림성(吉林省) 용정촌(龍井村)에 설립된 제창병원(濟昌病院)의 원장으로 부임하였다. 1919년 용정 3.1운동 당시 치외법권을 근거로 일제로부터 한인들을 보호하는 한편 선교사 가옥 및 제창병원을 활동 장소로 제공하였다.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의 도움으로 한인들은 안전한 곳에서 독립선언서를 인쇄하고 3.1운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이때 용정 3.1운동을 주도하고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를 조직한 구춘선(具春先)도 도움을 받았다. 후에 구춘선은 대한국민회 명의로 제작된 표창 및 기념패를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에게 전달하였다.

1919년 3월 13일 용정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시작되었다. 한인들의 만세 시위에 놀란 일제와 중국군은 발포로 대응하였다. 박문호(朴文浩)를 비롯한 13명이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이 외에도 중상자 18명을 비롯한 3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은 사망자를 제창병원에 안치하고 의료진과 함께 부상자 치료에 매진하였다. 나아가 3월 17일 희생자들을 위한 합동 장례 및 예배를 주관하였다.

간도 한인들의 3.1만세 시위와 독립군 활동 등을 주시하던 일제는 1920년 10월 간도참변을 일으켰다. 일제는 10월 30일 주민 대다수가 기독교 신자였던 장암동(獐巖洞)을 습격하여 성인 남성 33명을 처참히 학살하고 시신까지 불태웠다.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은 1920년 10월 31일 장암동을 방문하여 학살 장소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겼다. 그리고 예배를 열어 희생자 유족을 위로하고 조의금을 전달하였다. 11월에는 『북선일보(北鮮日報)』 기자를 만나 간도참변을 일으킨 일본 군대의 야만 행위에 분개한다고 밝히며, 캐나다 토론토 장로파 전도본부에 간도참변의 전말을 보고하였다. 간도참변 보고는 1920년 12월 15일자 캐나다 신문 『토론토그로브』에 보도되었다.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의 보고문을 인용하면서 일본 군대의 폭력성을 고발하였다. 간도참변에 관한 기사로 세계는 일제의 잔혹한 통치로 한국인들이 받는 고통과 참상을 알게 되었다.

1927년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은 서울 세브란스병원 교수로 부임하였다. 동시에 흉부외과 과장과 세브란스 결핵병방지회 회장을 겸임하며 한국 폐결핵 퇴치에 공헌하였다. 1940년부터 일본과 미국 간의 개전(開戰)이 가사화되자 미국과 영국 영사관이 선교사들의 철수를 권고하여 그해 11월 16일 부인과 함께 미국 정부가 보낸 마리포사(The Mariposa)호를 타고 한국을 떠났다. 1941년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몬드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한국민족운동사료』삼일운동편(국회도서관, 1977)
  • 『한국사』(국사편찬위원회, 2001)
  • 『한국 민족운동사 자료』(국사편찬위원회, 2002)
  • 강덕상, 『현대사자료』28(미스즈서방(みすず書房), 1967)
  • 김승태, 「캐나다장로회의 의료 선교-용정 제창병원을 중심으로」(『연세의사학』14-2,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2011)
  • 『PEKING&TIENTSIN TIMES』(1920. 12. 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