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Soong San |
---|---|
한자 | 崇山 |
영문 | Soong San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인물(세계)/종교인 |
지역 | 미국 캐나다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27년 8월 1일 |
---|---|
출가|서품 시기/일시 | 1947년 10월 |
활동 시기/일시 | 1974년 |
활동 시기/일시 | 1975년 |
활동 시기/일시 | 1977년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 |
활동 시기/일시 | 1997년 |
몰년 시기/일시 | 2004년 11월 30일 |
출생지 | 평안남도 순천군 |
학교|수학지 |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 1길 30[필동 3가 26-1] |
활동지 | 미국 |
활동지 | 캐나다 |
원어 항목명 | Soong San |
성격 | 승려|전법승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조계종 비상종회 의장|비구·대처 통합종단 비상종회 의장 |
1966년부터 일본, 미국, 캐나다 등 32개국에서 한국 불교를 전파한 전법승(傳法僧).
숭산은 1927년 8월 1일 평안남도 순천 지역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수학하였으며, 1947년 10월에 출가하였다. 1966년부터 2004년까지 일본과 홍콩, 미국, 캐나다, 폴란드, 영국, 스페인, 브라질, 프랑스, 싱가포르 등 세계 32개국에 홍법원 및 선원을 개설하였다. 미국 내에서는 프로비던스 선원[Providence Zen Center]을 시작으로 1974년에 엘에이 달마사[LA Dharma Zen Center], 1975년에 뉴욕 조계사[Chogye International Zen Center], 1977년에 캘리포니아 빈 게이트 선 센터[Empty Gate Zen Center] 등을 차례로 설립, 미주 전역에 30여 개의 선원을 설립하였다.
숭산의 해외 포교 업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야는 ‘서양인 포교’이다. 숭산은 서양인들에게 선사(禪師)[Zen Maste]로서 승려 경허와 만공의 선맥을 앞세워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인 간화선(看話禪)을 지도하였으며, 그 가르침의 법맥을 ‘관음스쿨[Kwan Um School of Zen]’이라는 조직을 통해 미국 땅에 정착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조계종과 관음스쿨을 통해 수십 명의 서양인 제자들을 출가시켰으며, 재가자도 공부의 정도에 따라 몇 단계의 품계를 부여함으로써 지속적인 수행을 독려하였다. 또 숭산은 미국 전역에 수많은 ‘관음선종 수행센터’를 건립하여 한국 불교가 지속적으로 전파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하였다. 1972년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덴스에 관음스쿨의 본사인 프로비덴스 젠센터가 설립된 후 현재 미주 전역에 30여 개의 센터와 그룹이 활동 중이다. 숭산은 2004년 11월 30일에 사망하였다.
숭산은 생전에 티베트의 달라이라마(Dalai Lama), 베트남의 틱낫한(Thich Nhat Hanh), 캄보디아의 마하 고사난다와 함께 세계 4대 생불로 추앙받았다.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이라는 메시지와 몽둥이 30방으로 미국에서 한국 불교의 선사상을 전파하였다. 숭산의 저술로는 『Only Don't Know-Selected Teaching Letters of Zen Master Seung Sahn』[Shambhala Publications, 1999], 『오직 모를 뿐』[물병자리, 2000], 『세계일화(世界一花)』[수봉선원문교부, 2001], 『온 세상은 한 송이꽃-숭산선사공안집』[현암사, 2001] 등이 있다.
1985년 세계평화문화인대회 세계평화상을, 1997년에는 만해포교대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