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Byeong Gyu Seo |
---|---|
한자 | 徐丙珪 |
영문 | Byeong Gyu Se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버지니아주 뉴저지주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72년 |
---|---|
수학 시기/일시 | 1894년 |
수학 시기/일시 | 1898년 6월 15일 |
수학 시기/일시 | 1898년 9월 11일 |
수학 시기/일시 | 1899년 7월 18일 |
활동 시기/일시 | 1900년 5월 |
활동 시기/일시 | 1905년 |
몰년 시기/일시 | 1952년 |
출생지 | 대구광역시 |
거주|이주지 | 서울특별시 |
학교|수학지 | 미국 버지니아주 세일럼 칼리지 레인 221 |
학교|수학지 |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
원어 항목명 | Byeong Gyu Seo |
성격 | 관료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농상공부 공무국장|인천 부윤 |
개화기 미국 유학생 출신의 대한제국 관료.
서병규(徐丙珪)[1872~1952]는 1872년 대구에서 출생하여 서울에서 거주하였다. 일찍부터 미국으로 건너가 1890년 4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수학하다 1893년 워싱턴 중앙학교로 전학하였다. 이때 시카고에서 개최된 시카고 컬럼비아 박람회[Chicago Columbian Exposition]에 한국 대표로 참가한 정경원(鄭敬源)의 통역을 지원하였다.
1894년 미국 버지니아주의 로어노크대학[Roanoke College]에 입학하여 문학을 전공하고 1898년 6월 15일 졸업하였다. 같은 해 9월 11일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 대학원에 진학하여 이듬해인 1899년 7월 18일에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린스턴대학교 재학 중 지도교수이자 후일 대통령이 되는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교수의 도움으로 미시간(Michigan)의 포드(Ford) 자동차를 견학하여 공장을 돌아보고, 에디슨(Edison) 연구소를 방문하여 미국의 최첨단 과학 기술과 공장 설비를 견학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대한제국 관료로 근무하였다. 1900년 5월 궁내부(宮內府) 전화과(電話課) 주사(主事)로 임명되어 전화기 가설 실무를 담당하였다. 1902년부터 조선 태조(太祖)의 어전을 보관한 준원전(濬源殿) 이전 공사를 감독했으며 경례식(慶禮式) 사무위원과 중추원(中樞院) 의관을 역임하였다.
1902년 5월 대한제국은 미국 공사 알렌(Allen)의 조언을 받아들여 한국인 노동자의 하와이 이민을 승인하였다. 이는 한국 최초의 관제 노동 이민이자 미주 한인 이민사의 시작점이 되었다. 이때 민영환(閔泳煥)을 총재로 현재의 이민국에 해당하는 수민원(綏民院)이 설립되자 총무국장(總務局長)으로 임명되어 이민 업무를 총괄하였다.
1905년부터 농상공부(農商工部) 상공국장(商工局長)으로 근무하였다. 농상공부는 1895년 국내 농업과 상공업 행정을 총괄한 중앙 7부 중 하나로 개화기 우체와 전신, 광산과 선박 등에 이르는 분야를 관할하였다. 1906년에는 대한제국의 개항지인 인천의 감리(監理)와 인천항 재판소 판사, 관립 일본어학교 교장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10월부터 한 달간 인천 부윤(府尹)을 역임하였다. 11월부터 농상공부 공무국장(工務局長)으로 복귀하였고 도량형 사무국장(度量衡事務局長)을 겸임하였다. 1952년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