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Gwang Beom Seo |
---|---|
한자 | 徐光範 |
영문 | Gwang Beom Se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세계)/인물(일반) |
지역 | 미국 |
시대 | 근대/개항기 |
출생 시기/일시 | 1859년 11월 8일 |
---|---|
활동 시기/일시 | 1882년 6월 |
활동 시기/일시 | 1892년 |
활동 시기/일시 | 1892년 |
활동 시기/일시 | 1894년 |
활동 시기/일시 | 1895년 10월 |
활동 시기/일시 | 1895년 12월 11일 |
몰년 시기/일시 | 1897년 7월 17일 |
출생지 | 평안도 평양 |
거주|이주지 | 미국 |
활동지 | 미국 |
묘소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 198 |
원어 항목명 | Gwang Beom Seo |
성격 | 개화파 사상가|정치가 |
성별 | 남 |
본관 | 대구 |
대표 경력 | 제2차 김홍집내각 법부대신|제4차 김홍집내각 학부대신|주미 특명전권공사 |
개항기 미국으로 망명한 정치가이자 개화파 사상가.
서광범(徐光範)[1859~1897]은 1859년 11월 8일 평안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1880년(고종 17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의 대교·검교, 홍문관의 부수찬·부응교 등을 지냈다. 1882년 김옥균(金玉均)과 서재필(徐載弼), 박영효 등과 함께 개화당을 조직하였다. 김옥균과 함께 일본 도쿄를 방문하여 국정을 시찰하던 중 임오군란(壬午軍亂) 발생 소식을 듣고 급히 귀국하였으며, 그해 8월 참찬관으로 임명되었다. 1883년에는 규장각대교(待敎)에 임명되어 경연시독관을 겸직하였다. 같은 해, 26세의 나이로 보빙사(報聘使) 민영익(閔泳翊) 종사관으로 미국과 유럽을 방문한 뒤 1년 만에 귀국하여 김옥균과 서재필, 박영효 등과 함께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정변 실패 후 일본으로 탈출하고, 암살자들을 피해 1885년 5월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1892년 서광범은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여 미국 연방정부의 교육국[Bureau of Education] 번역관으로 재직하였다. 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이어 가던 중, 1894년 말 조선으로 귀국하여 김홍집과 박영효의 연립내각에 법부대신으로 참여하였다. 1895년 10월에는 제4차 김홍집 내각에서 학부대신을 지냈고, 같은 해 12월 11일 주미 특명전권공사를 지냈다. 1897년 7월 17일 지병인 폐렴이 악화되어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사망하였다.
서광범 묘소는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 198번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