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욱

원어 항목명 Jang Wook Moon
한자 文章郁
영문 Jang Wook Mo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인물(일반)
지역 미국 텍사스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3년
수학 시기/일시 1927년
수학 시기/일시 1930년
수학 시기/일시 1935년
활동 시기/일시 1925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46년
활동 시기/일시 1948년 8월
몰년 시기/일시 1976년
출생지 충청남도 당진군 합덕면 성동리
거주|이주지 미국 텍사스주
학교|수학지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미국 아이오와주
학교|수학지 미국 뉴욕주
활동지 미국 텍사스주
원어 항목명 Jang Wook Moon
성격 교육자
성별
대표 경력 문교부 차관
정의

1948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텍사스주에서 대학교수로 활동한 한인 교육자.

개설

문장욱(文章郁)[1903~1976]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 유학을 떠나 남가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으로 귀국 후 감리교신학교와 고창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광복 후 미군정 외무처장을 지냈다. ‘조선교육사절단’의 일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 정부 초대 문교부 차관을 역임한 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대학교수로서 텍사스주에 정착하였다.

활동 사항

문장욱은 1903년에 충청남도 당진군 합덕면 성동리에서 태어나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연희전문학교에 재학 중이던 1923년 3월, 한국인을 멸시하는 미국인 교수 히치의 언동에 민족적 의분을 느껴 동료 학생들과 함께 교수를 구타하고 징계받았다. 1925년 5월 서울에 있는 당진 유학생 모임인 당진학생학우회(唐津學生學友會) 위원장을 맡았으며, 1927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그해 9월에 미국 유학길에 올라 아이오와주 심슨대학을 마치고 뉴욕 컬럼비아대학교에 입학하여 1930년에 석사학위를 받았다. 1935년에는 남가주대학교[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미국과 섬라의 관계[American Relations with Siam]」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학 시 뉴욕 학생회와 나성 학생회[로스앤젤레스 학생회]에서 활동하였다. 1933년 6월과 1935년 6월에 열렸던 서부학생대회에서 회장을 맡았으며, 북미 대한인유학생총회가 발간한 잡지 『우라끼[The Rocky]』에 필자[제5·6·7호]와 편집부원[제7호]으로 참여하였다.

문장욱은 1936년에 귀국하여 감리교신학교 교수와 고창고등보통학교 영어 교사로 재직하였고, 1945년 8.15광복 후 한국민주당 외무부 위원과 미군정 외무처장[1945~1948]으로 활동하였다. 1946년 3월 15일에는 교육 원조 실천 방략으로 미국에 파견된 ‘조선교육사절단’의 일원으로서 역할하였다. 이때 문장욱은 행정과 외무 분야 교육 원조를 담당하였으며, 워싱턴과 뉴욕, 코네티컷, 매사추세츠, 노스캐롤라이나, 유타, 텍사스, 콜로라도 등지의 교육기관과 멕시코, 캘리포니아를 방문하여 한국의 실상을 설명하고 교육 원조를 호소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그해 8월 16일에 귀국하였다. 1947년 7월 미국 유학생 학자금 원조를 위해 다시 미국으로 가서 활동한 뒤 1948년 7월에 귀국하였다.

문장욱은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의 초대 문교부 차관[1948. 8. 9.~1948. 10. 4.]을 지냈다가 곧 사직하고, 그해 11월 오리건주 퍼시픽대학교 교환교수로 도미하였다. 이후 텍사스주에 정착하여 댈러스 인근의 포트워스 웨슬리언대학교와 동텍사스주립대학교(East Texas State University)[현 텍사스 A&M대학교] 교수로 근무[1962~1973]하였다. 문장욱은 1950년대 댈러스 한인 사회 형성 초기에 구심 역할을 하였으며, 1976년 텍사스주 타일러시에서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 『우라끼』6(북미 대한인유학생총회, 1933)
  • 『우라끼』7(북미 대한인유학생총회, 1936)
  • 정일형, 『오직 한 길로-항일·반독재 투쟁사』(을지서적, 1991)
  • 신기해, 『달라스 초기 한인 이민사』(퍼플, 2014)
  • 김수자, 「미군정기 통치기구와 관료임용정책」(『한국근현대사연구』5, 한국근현대사학회, 1996)
  • 김희곤, 「북미유학생잡지 『우라키』 연구」(『경북사학』21, 경북사학회, 1998)
  • 윤종문, 「1946년 미군정의 ‘조선교육사절단(朝鮮敎育使節團)’ 미국 파견과 그 결과」(『한국민족운동사연구』96,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 『시대일보』(1925. 5. 12.)
  • 『신한민보』(1929. 10. 10.|1930. 5. 8.|1930. 6. 19.|1931. 6. 18.|1931. 10. 29.|1931. 12. 31.|1932. 9. 15.|1932. 9. 29.|1932. 11. 24.|1933. 6. 1.|1933. 6. 8.|1933. 10. 5.|1933. 11. 2.|1935. 7. 11.|1935. 8. 8.|1935. 12. 19.|1937. 1. 21.)
  • 『조선일보』(1947. 7. 23.|1947. 10. 10.)
  • 『동아일보』(1947. 10. 31.|1948. 7. 9.|1948. 7. 14.|1960. 6. 17.)
  • 『경향신문』(1948. 7. 16)
  • 국가기록원(https://www.archives.go.kr)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 정일형 이태영박사 기념사업회(https://www.chyunglee.com)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