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현

원어 항목명 Bo Hyeon Kim
한자 金寶鉉
영문 Bo Hyeon Kim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인물(세계)/예술인
지역 미국 뉴욕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7년
수학 시기/일시 1924년
수학 시기/일시 1930년
수학 시기/일시 1937년
수학 시기/일시 1939년
수학 시기/일시 1942년
활동 시기/일시 1937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12월
활동 시기/일시 1947년
활동 시기/일시 1948년 7월
활동 시기/일시 1949년 7월
활동 시기/일시 1950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50년 11월
활동 시기/일시 1951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활동 시기/일시 1957년
활동 시기/일시 1960년
활동 시기/일시 1962년
활동 시기/일시 1992년
활동 시기/일시 1995년
활동 시기/일시 1996년
활동 시기/일시 2000년 2월
활동 시기/일시 2005년
활동 시기/일시 2007년
활동 시기/일시 2009년 4월
몰년 시기/일시 2014년 2월 7일
출생지 경상남도 창녕군
거주|이주지 미국 뉴욕주
학교|수학지 대구광역시
학교|수학지 일본 도쿄
학교|수학지 일본
학교|수학지 일본 도쿄
활동지 미국 뉴욕주
원어 항목명 Bo Hyeon Kim
성격 화가
성별
대표 경력 조선대학교 예술학과 교수|일리노이대학교 연구원
정의

미국 뉴욕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재미 한인 1세대 화가.

개설

김보현(金寶鉉)[1917~2014]은 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나 일본 태평양미술학교와 메이지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 이후 조선대학교 예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화단에서 60여 년 동안 작품 활동을 하였다. 2009년에는 뉴욕에 ‘The Sylvia Wald and PO Kim Art Gallery[실비아 올드 앤드 포 김 아트 갤러리]’를 개관하였다. 2000년 조선대학교에 작품 340여 점을 기증하였고, 2002년에는 부인 실비아 올드(Sylvia Wald)[1915~2011, 화가·조각가]가 작품 78점을 기증하였다.

활동 사항

김보현은 1917년 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났다. 1924년 대구 덕산보통학교 입학하여 1930년에 졸업하였다. 1937년 일본 도쿄로 유학하여 태평양미술학교에서 2년간 수학하였다. 1939년 제국상업학교에 편입하여 졸업하고 1942년 메이지대학교 법과에 입학하였다. 1946년 일본에서 귀국하여 같은 해 12월부터 1955년까지 조선대학교 예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1947년 9월 중앙국민학교에서 열렸던 ‘종합발표전’에 참가하였으며, 1948년 7월과 1949년 7월 광주 미국공보원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1950년 3월 ‘조선대학교 미술교수 전람회’에 출품하였으며, 그해 11월 전남지구 종군화가단에 참여하였다. 1951년에는 광주 미국공보원에서 열린 종군화가단전에 참가하였고, 1952년에 ‘천경자, 조복순, 김보현, 이경모의 합동 4인전’이 광주 미국공보원에서 열렸다. 김보현은 여수순천사건(麗水順天事件)과 한국전쟁을 겪으며 좌우 모두로부터 수난을 당하였다.

1955년 미국으로 건너가 일리노이대학교에서 2년 동안 연구원으로 지냈으며, 1957년에 뉴욕으로 이주하였다. 이후 뉴욕 화단에서 포 김(Po Kim)이라는 이름으로 60여 년 동안 활동하면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창조하였다. 1950~1960년대 김보현의 그림은 추상표현주의가 주를 이루었다. 1960년 ‘4인전’과 1962년 뉴욕 콘블리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개최였으며, 1962년 뉴욕대학에서 동양미술사를 강의하였다. 1970년대에는 추상에서 벗어나 일상의 정물을 극사실적으로 그렸고, 1980년대 이후에는 추상과 구상이 결합한 대작 유화를 작업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 김보현은 한국 화단에 다시 알려지기 시작하였는데, 1992년 서울 혜나 켄트 화랑에서 개인전을, 1995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재미 40년의 회고전’을, 1996년에는 서울 박여숙 화랑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00년 2월 조선대학교에 작품 307점을 기증하였으며, 2002년 8월에는 부인 실비아 올드가 작품 78점을 기증하였다. 2005년 조선대학교미술관에서 개인전 ‘조선대학교 개교59주년 기념 특별기회: 낙원의 향수[Nostalgia in the Paradise]’를 개최하였고, 2007년에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회고전 ‘고통과 환희의 변주: 김보현의 화업 60년’이 열렸다. 2009년 4월 뉴욕 노호 작업실 건물에 실비아 올드 앤드 포 김 아트 갤러리를 개관하였으며, 2011년 9월에는 조선대학교미술관 안에 ‘김보현&실비아 올드 미술관[Po Kim and Sylvia Wald of Art]’이 문을 열었다. 2014년 2월 7일 97세의 나이로 뉴욕 맨해튼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보현의 작품으로는 「무제」[1959~1965] 시리즈와 「호두 콜라주 4」[1979~1980] 시리즈, 「파랑새」[1986~1988] 시리즈, 「그 후」[1992], 「자연의 속삭임」[1993], 「새와 놀다」[1996], 그리고 「검은 태양 흰 태양」[2003]과 「새로운 생」[2012]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김보현 추도식은 2014년 2월 17일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내 피터 루이스 극장[Peter B. Lewis Theater]에서 열렸다. 2017년 5월 12일부터 7월 30일까지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환기미술관에서 대규모 특별 기획전 ‘김포 탄생 100주년: Po Kim: Then and Now’가 개최되었다.

참고문헌
  • 국립현대미술관, 『고통과 환희의 변주- 김보현의 화업 60년전』(결출판사, 2007)
  • 『김보현』3(조선대학교 미술관, 2011)
  • 바바라 런던, 「지상의 낙원: 해외작가/김보현(서양화)」(『미술세계』1995년 11월호, 미술세계)
  • 김허경, 「호남 앵포르멜의 미술사적 의의와 재평가에 관한 연구」(전남대학교 미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양은희, 「1960-70년대 뉴욕의 한국작가」(『미술이론과 현장』16, 한국미술이론학회, 2013)
  • 정금희·조사라, 「재미 작가 김보현 작품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디아스포라 연구』7-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3)
  • 『호남신문』(1948. 7. 15.|1948. 7. 20.|1948. 7. 24.|1949. 6. 4.|1949. 7. 3.|1949. 7. 5.)
  • 『동광신문』(1949. 7. 1.)
  • 『한겨레신문』(1989. 12. 2.)
  • 『중앙일보』(1992. 10. 22.|1995. 10. 3.|2003. 10. 28.|2011. 6. 10.|2014. 2. 10.|2014. 2. 17.)
  • 『경향신문』(1995. 9. 18.)
  • 『연합뉴스』(2014. 8. 21.|2017. 5. 11.)
  • 환기 미술관(http://www.whankimuseum.org)
  • the sylvia wald+po kim art gallery(https://waldandkimgallery.org)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