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Jun Seong Kim |
---|---|
한자 | 金俊星 |
영문 | Jun Seong Kim |
분야 | 종교/기독교 |
유형 | 인물(세계)/종교인 |
지역 | 미국 캐나다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898년 |
---|---|
활동 시기/일시 | 1942년 5월 |
활동 시기/일시 | 1944년 |
활동 시기/일시 | 1956년 |
몰년 시기/일시 | 1978년 9월 8일 |
출생지 | 함경남도 단천시 |
활동지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시 |
활동지 | 미국 뉴욕주 |
원어 항목명 | Jun Seong Kim |
성격 | 목사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뉴욕 한인교회 제5대 목사 |
일제 강점기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등지에서 개신교 사회운동을 한 YMCA 출신의 목사.
김준성(金俊星)[1898~1978]은 일제 강점기에 캐나다선교회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시와 미국 뉴저지주 등에서 공부하였고, 북미 지역에서 존 스타 김(John Star Kim)이라는 필명으로 문서 선교를 한 목사이다.
김준성은 1898년 함경남도 단천(端川)에서 태어났다. 유학 시절 뉴욕 한인교회에 출석하였고, 1942년 5월에 뉴욕 한인교회 제5대 목사가 되었다. 김준성은 교회 내에서 목사 임창영에 대해 불만을 가진 소수의 신학생 그룹이 자기들끼리 모여 예배를 보는 모습을 보고 중재 역할을 하여 통합하였으며, 학생회를 도와 영문 회보인 『The Free Korea』를 창간하고 주필이 되었다. 매월 3,000부를 인쇄하여 3년간 미국 정부 관원들과 국회의원, 기타 애국 사회 요인들에게 배부해 독립과 해방운동에 기여하였다. 1944년에는 안익태(安益泰의 「애국가」를 영어로 번역해 영문 악보 수백 장을 인쇄해 배포하였다. 2절까지 한글 가사의 발음을 영문으로 표기한 것이 아니라 내용을 의역해 멜로디에 맞도록 제작하였다. 1956년 뉴욕 자메이카 지역에 롱아일랜드 한인교회를 창립하였고, 1978년 9월 28일에 사망하였다.
김준성은 ‘기독교 사회주의’에 대해 연구하면서 사회주의의 원류가 기독교임을 강조하였다. 사회주의에 대해서는 ‘종교 아편론’과 같은 몰지각한 사고와 폭력을 중지하라고 촉구하였고, 교회에 대해서는 예수의 원래 정신으로 돌아가 가난한 자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하며 교계의 타성과 나태를 반성하고 적극적으로 예수의 사랑을 실천하라고 촉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