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경

원어 항목명 Ja Gyeong Kim
한자 金慈璟
영문 Ja Gyeong Kim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인물(세계)/예술인
지역 미국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7년 9월 9일
수학 시기/일시 1940년
수학 시기/일시 1948년 8월
활동 시기/일시 1940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48년 1월
활동 시기/일시 1948년 8월
활동 시기/일시 1950년 5월 5일
활동 시기/일시 1955년
활동 시기/일시 1958년
활동 시기/일시 1968년
활동 시기/일시 1974년 7월
활동 시기/일시 1974년 10월
활동 시기/일시 1981년 8월
활동 시기/일시 1983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84년 6월
활동 시기/일시 1987년
활동 시기/일시 1988년
활동 시기/일시 1994년
활동 시기/일시 1997년
몰년 시기/일시 1999년 11월 9일
출생지 황해북도 개성시
학교|수학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학교|수학지 미국 뉴욕주 뉴욕시
활동지 미국 뉴욕주
활동지 서울특별시
원어 항목명 Ja Gyeong Kim
성격 성악가|음악 교육자
성별
대표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성악과 교수|김자경 오페라단 대표
정의

한국과 미국에서 활동한 한인 성악가이자 음악 교육자.

개설

김자경(金慈璟)[1917~1999]은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를 졸업하였으며, 1948년 1월 국내에서 처음 공연된 오페라 「춘희[라 트라비아타]」의 주인공을 맡았다. 1948년 뉴욕 줄리어드음악학교에 유학하였고, 1950년 5월에 카네기 홀에서 한국인 최초로 독창회를 가졌다. 1958년에 귀국하여 1983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성악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제자를 양성하였다. 이후 1968년에 ‘김자경 오페라단’을 창단하여 오페라 예술 진흥을 위한 활동을 하였다.

활동 사항

김자경은 1917년 9월 9일 황해북도 개성에서 태어났다. 원산 루씨보통학교와 루씨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에 입학하여 피아노와 성악을 전공하였다.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졸업하던 해인 1940년 5월 조선일보사 주최 제3회 신인음악회에 출연해 오페라 「노르마」 중 「정결한 여신」을 독창하였다. 이화여자전문학교 졸업 후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1941년 11월에는 첫 독창회 개최 이래 1997년까지 국내외에서 독창회를 하였다. 1948년 1월 16일부터 1월 20일까지 서울 명동 시공관에서 국내 최초로 공연된 오페라 「춘희」의 주인공 비올레타 역을 맡았다. 같은 해 8월 미국 유학을 떠나 뉴욕 줄리아드음악학교에서 2년간 수학하였다. 1950년 5월 5일에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뉴욕 카네기 홀에서 독창회를 갖고 정규 레퍼토리와 함께 한국 민요와 가곡을 선보였다. 1950년부터 1958년까지 미국 각 주 80여 도시에서 100여 회의 순회 독창회를 가졌으며, 1955년에는 메트로폴리탄 여름 순회 오페라 공연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와 「카르멘」에 참여하였다.

1958년 귀국하여 1983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성악과 교수로 재직하며 제자를 양성하였다. 1968년에 국내 최초의 민간 오페라단인 ‘김자경 오페라단’을 창단하여 정기 공연과 지방·소극장 공연을 하였다. 김자경 오페라단은 1968년 5월 창단 공연 「라 트라비아타」를 시작으로 「마농 레스코」와 「로미오와 줄리엣」, 「토스카」, 「나비 부인」, 「아이다」, 「원효 대사」, 「사랑의 묘약」, 「일 트로바트레」, 「피가로의 결혼」, 「세비야의 이발사」, 「라 보엠」, 「리골렛토」, 「심청전」, 「카르멘」, 「춘향전」, 「메리 위도우」 등을 공연하였다.

1981년 8월에 대한민국예술원 정회원으로 임명되었다. 1984년 6월에 오페라하우스를 설립하였으며, 1987년 뉴욕 카네기 홀과 1988년 뉴욕 머킨스 홀에서 독창회를 가졌다. 이후 1994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명예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에 자서전 『[소프라노 김자경의] 눈으로 듣는 삶의 노래』가 출간되었으며, 1999년 11월 9일 서울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저술로는 『눈으로 듣는 삶의 노래』[삶과 꿈, 1997]가 있다.

상훈과 추모

1974년 7월 제19회 대한민국예술원상을 수상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은관 문화훈장, 1983년 3월 국민훈장 석류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 김순애 외, 『비엔나 숲속의 이야기-여류음악가 11인선』(전예원, 1978)
  • 조종무, 『아메리카 대륙의 한인 풍운아들』하(조선일보사, 1988)
  • 김자경, 『[소프라노 김자경의] 눈으로 듣는 삶의 노래』(삶과 꿈, 1997)
  • 한상우, 『기억하고 싶은 선구자들』(지식산업사, 2003)
  • 『조선일보』(1940. 5. 9.|1983. 3. 1.)
  • 『매일신보』(1941. 11. 1.|1945. 4. 12.)
  • 『경향신문』(1948. 8. 22.|1974. 10. 19.|1981. 8. 13.|1984. 6. 14.)
  • 『동아일보』(1950. 5. 10.|1974. 7. 30.|1991. 8. 27.)
  • 『중앙일보』(1993. 4. 15.)
  • 『The New York Times』(1949. 12. 18.|1950. 5. 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