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경

원어 항목명 Sun Gyeong Kim
한자 金舜敬
영문 Sun Gyeong Ki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인물(일반)
지역 미국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0년 2월 28일
수학 시기/일시 1942년
수학 시기/일시 1956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활동 시기/일시 1947년
활동 시기/일시 1949년
활동 시기/일시 1954년
활동 시기/일시 1960년
활동 시기/일시 1961년
활동 시기/일시 1961년
활동 시기/일시 1961년
활동 시기/일시 1969년
활동 시기/일시 1990년
활동 시기/일시 1971년
활동 시기/일시 1972년
활동 시기/일시 1997년
몰년 시기/일시 2003년 3월 14일
추모 시기/일시 2005년
추모 시기/일시 2017년
출생지 함경남도 함흥시
거주|이주지 미국
학교|수학지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일본 오사카시
학교|수학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활동지 한국
활동지 미국
원어 항목명 Sun Gyeong Kim
성격 물리학자|교육자
성별
대표 경력 루이빌대학교 화학과 교수|서울대학교 화학과 교수|대한민국학술원장|재미 한인과학기술자협회 초대 회장
정의

미국 화학계에 이론 물리화학의 기초를 닦은 학자이자 교육자.

개설

김순경(金舜敬)[1920~2003]은 경성공업전문학교 및 오사카대학교에서 화학을 공부한 후 서울대학교 화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1954년 미국 템플대학교로 유학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귀국 후 교육자로서 후학을 양성에 힘썼다. 이후 루이빌대학교와 템플대학교에서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과 미국의 이론 물리화학계에서 연구 업적을 쌓으면서 화학계 발전에 기여하였다.

활동 사항

김순경은 1920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나 함흥농업중학교에서 수학 중 화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경성공업전문학교에서 응용화학을 공부한 후 일본으로 유학하여, 1942년 오사카대학교 화학과에 입학하여 1944년 졸업하고 연구원 생활을 하였다. 귀국 후 1946년 경성제국대학교 화학과 전임강사로 재직하였다.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중앙공업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였고, 1949년부터 1965년까지 서울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서울대학교 재직 중인 1954년 미국 템플대학교로 유학하여 1956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지도교수는 1968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라르스 온사거(Lars Onsager)였다. 1960년 대한화학회 초대 간사장으로 활동하며 오늘날 대한화학회의 기초를 닦았으며,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합에 가입하는 데 진력하여 화학계의 국제 무대 진출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더 깊은 화학 연구를 위하여 1961년 브라운대학교 방문 교수로 미국에서 연구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같은 해 대한민국학술원장을 지냈다. 1961년부터 1966년까지 미국 브라운대학교 화학과 방문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66년부터 1969년까지 루이빌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재직하였다. 1969년 템플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기 시작하여 1990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뛰어난 이론 물리화학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김순경은 한국에 있을 때도, 미국에서 교수로 재직할 때도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1971년 재미 한인과학기술자협회를 창설하여 초대 회장을 역임한 김순경은 한국과학기술대학교와 포항공과대학교 설립에 기여하였으며, 2003년 3월 14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순경의 저술로는 『통계역학(統計力學)과 이론화학(理論化學)-김순경 교수 논문집(金舜敬敎授論文集)[Statistical Mechanics and Theoretical Chemistry]』[재미 한인과학기술자협회, 1981]과 『이론화학에 있어서의 군론적방법(群論的方法)-김순경 교수 논문집』[재미 한인과학기술자협회, 1991], 『Shoon Kyung Kim, Group Theoretical methods and Applications to Molecules and Crystals』[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등이 있다.

묘소

1972년에 국민훈장 동백장을, 1997년에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사망 후 2005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으며, 2017년에는 2017 과학기술유공자로 선정되었다.

참고문헌
  • 함인영, 「한 과학자의 꿈 “인류평화와 번영을 위해 공헌해야”」(『재미과기협회보』15,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 1987)
  • 박택규, 「화학교육과 연구로 겨레사랑 실천한 ‘김순경’(1920~2003)」(『과학과 기술』,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5)
  • 이성규, 「민족을 위해 일한 화학계의 큰 스승 김순경」(『사이언스 타임스』, 2015. 2. 25.)
  •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http://sck.re.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