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용흘

원어 항목명 Young Heul Kang
한자 姜鏞訖
영문 Young Heul Ka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인물(세계)/예술인
지역 미국 플로리다주  
시대 근대/개항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8년
수학 시기/일시 1918년
수학 시기/일시 1920년
수학 시기/일시 1922년
수학 시기/일시 1925년
수학 시기/일시 1925년
수학 시기/일시 1927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8년
활동 시기/일시 1929년
활동 시기/일시 1931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활동 시기/일시 1937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활동 시기/일시 1948년
활동 시기/일시 1950년
활동 시기/일시 1970년
몰년 시기/일시 1972년 12월 11일
출생지 함경남도 홍원군 운학면 산양리 둔지마을
거주|이주지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
거주|이주지 미국 플로리다주
학교|수학지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
학교|수학지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학교|수학지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활동지 미국 뉴욕주 뉴욕시
활동지 미국 코네티컷주
원어 항목명 Young Heul Kang
성격 시인|소설가|학자
성별
본관 진주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사회에서 이름을 떨친 이민 1세대 소설가이자 학자.

활동 사항

강용흘(姜鏞訖)[1898~1972]의 자는 성여(聲汝), 호는 초당(草堂)·백령초부(白領憔夫)이다. 1898년(고종 35) 함경남도 홍원군 운학면 산양리 둔지마을에서 강신풍(姜信豊)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한시와 유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근대 문물에 밝은 친척의 권고로 1912년부터 1914년까지 양성소학교를 다녔다. 1914년 서울 오성중학교에 입학하였다. 1915년 캐나다 선교사의 미션스쿨인 함흥 영생중학교에 2학년으로 편입하였으며 1918년 졸업하였다.

1919년 3.1운동 참가 이후 캐나다 선교사 루서 C. 영을 따라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로 이주한 후 1920년부터 1922년까지 캐나다 달하우지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22년 미국 보스턴대학교에 입학해서 1925년 이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25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입학해서 1927년 문학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28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편집에 참여하였다. 1928년 프랜시스 킬리[김길리(金吉利)]와 결혼하였다.

1929년부터 뉴욕대학교에서 영문학 강사로 활동하던 시절에 토머스 울프(Thomas Wolfe) 등과 교제하였고 1931년 『초당[The Grass Roof]』을 발표하였다. 토마스 울프의 소개로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Francis Scott Fitzgerald) 등 미국 문학계 최고 작가의 작품을 발간한 스크리브너 출판사에서 첫 소설을 발간하였고 이민 1세로 한국 문학을 미국 사회에 떨친 최초의 문학자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초당』의 어린이용 버전인 『행복한 숲[The Happy Grove]』, 『동양선비 서양에 가시다[East goes West: The Making of an Oriental Yankee]』 등을 연이어 발간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시기와 광복 정국에서 미국 정부와 미군정청에 아시아 및 한국 관련 정보를 번역하고 소개하는 활동에 참여하였다. 1946년 미군정청의 요청으로 한국에 와서 1년 남짓 체류하며 서울대학교에서 강의를 맡기도 하였다. 1948년 미국으로 돌아가 뉴욕대학교에서 강의하였고 1950년부터 예일대학교에서 동양학을 강의하였으며, 유고작이 된 『궁정에서의 살인』을 집필하였다. 1968년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장서 5,000여 권을 기증하였다. 1970년 고려대학교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 제37차 국제펜클럽대회의 초청으로 두 번째 한국 방문을 한 이후 아내의 사망을 겪었다. 1972년 12월 11일 뇌졸중 후유증으로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요양 중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1929년 번역서 『동양의 시[Oriental Poetry]』. 1931년 자전적 소설 『초당』[C. Scribner's sons]을 발간하였다. 1933년 『행복한 숲』[C. Scribner's Sons], 1937년 『동양선비 서양에 가시다』[C. Scribner's sons]를 발간하였다. 1971년 번역 시집 『님의 침묵(Meditations of the Lover)』[연세대학교 출판부]을 발간하였다.

참고문헌
  • 조종무, 『아메리카 대륙의 한인 풍운아들』상(조선일보사, 1987)
  • 최병헌, 『강변에 앉아 울었노라-뉴욕한인교회 70년사』(깊은샘, 1992)
  • 김욱동, 『강용흘-그의 삶과 문학』(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 뉴잉글랜드 미주 한인이민백주년기념사업회, 『뉴잉글랜드 한인사』(선학사, 2004)
  • 이광규, 『뉴욕 한인 사회의 현상과 교육 문제』(북코리아, 2011)
  • 김욱동, 「시인으로서의 강용흘」(『영미연구』11,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04)
  • 임선애, 「옥시덴탈리즘과 복제된 오리엔탈리즘의 한국적 기원: ‘초당’ 연구」(『한국사상과 문화』54,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 채근병, 「강용흘 소설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탈식민적 대응 양상」(『국제한인문학연구』15(국제한인문학회, 2015)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