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명

원어 항목명 Jae Myeong Han
한자 韓在明
영문 Jae Myeong Ha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69년
활동 시기/일시 1905년
몰년 시기/일시 1945년 9월 12일
추모 시기/일시 2015년
출생지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원어 항목명 Jae Myeong Ha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총부회장
정의

일제 강점기 하와이와 미국 본토에서 대한인국민회와 미주 한인연합회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한재명(韓在明)[1869~1945]은 하와이와 미국 본토의 첫 통합 단체인 국민회(國民會)를 탄생시켰고, 하와이와 미국 본토에서 대한인국민회의 주요 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국민보』 주필 등을 역임하며 미주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인물이다.

활동 사항

한재명은 1869년 서울에서 태어나 1905년 하와이로 이주하였다. 1907년 9월 2일 하와이 지역 24개 단체 대표 30명이 호놀룰루에 모여 한인합성협회(韓人合成協會)를 결성하였다. 1908년 11월 30일 한재명한인합성협회의 대표로 북미의 공립협회 대표들과 합동 발기문을 발표한 뒤 1909년 2월 1일 통합 단체인 국민회를 탄생시키는 데 앞장섰다. 1909년 6월부터 홍종표(洪宗杓)의 후임으로 『신한국보』의 발행인이자 재무, 주필로 봉사했고,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의 총무와 구제원, 그리고 학무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12년 2월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헌장 개정을 위한 기초 위원에 선정되었고 같은 해 11월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부회장 후보를 비롯해 1914년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장 후보로 추천되기도 하였다. 1914년 5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이승만(李承晩)·박상하(朴相夏) 등과 한인청년회[YMCA]를 조직한 후 이사부원이 되었다. 1918년 들어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에서 내분이 일어날 때 한인중앙임시연합회를 조직하고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강영소(姜永韶)의 부름을 받아 1920년 미국 본토로 들어가 같은 해 3월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사무원에 임명되었다. 이후 1921년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의 사무원, 1922년 총무, 1923년 학무원, 1924년과 1925년 총부회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1931년 9월 일본의 만주 침략으로 중일전쟁의 전운이 일어나기 시작할 때 로스앤젤레스한인공동회에 참여해 같은 해 12월 7일 미주한인연합회를 결성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하는 데 노력하였다.

1934년 11월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3.1학교의 발전을 위해 교육위원과 교육부장이 되어 한인 아동들의 국어와 민족교육을 적극 지원하였다. 1936년 5월 재미 한인 사회 발전을 위한 실행 위원에 선정되어 한인 사회를 북미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결집하고 대한인국민회를 부흥시키는 데 앞장섰다. 1936년 북미 대한인국민회에서 헌장 개정을 추진할 때 3명의 교정 위원 중 한 사람으로 활동했고 1937년도 북미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의 후보 위원으로 천거되었다.

1937년 1월 대한인국민회 제1차 전체대표대회 때 송종익(宋鍾翊)·송헌주(宋憲澍)와 함께 대한인국민회 로스앤젤레스지방회를 대표해 참석하였다. 1938년 9월 대한인국민회 발전책과 중일전쟁 이후 재미 한인의 활동 방침을 조사·연구하기 위한 7명의 시사위원회 중 한 사람으로 천거되었으나 병고로 활동하지 못하다 1945년 9월 12일 사망하였다. 사후 재미 한인들은 ‘믿을 만한 지도자’로 칭할 정도로 한재명의 인품과 활동을 높이 평가하였다.

상훈과 추모

201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 영인본』(아세아문화사, 1981)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홍선표, 『자주독립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재미 한인의 꿈과 도전』(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