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세

원어 항목명 Deok Se Han
한자 韓德世
영문 Deok Se Ha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4년 12월 28일
활동 시기/일시 1921년
몰년 시기/일시 1977년 5월 5일
추모 시기/일시 2014년
출생지 전라북도 무주군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묘소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 사우스 리드 애비뉴 2185
원어 항목명 Deok Se Ha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여자애국단 중가주지부 단원|김형제상회 대표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를 중심으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

개설

한덕세(韓德世)[1894~1977]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에서 김형제상회[Kim Brothers Company]를 운영하며 시사연구회를 발기하였고, 대한인국민회대한여자애국단에서 각종 의연금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인물이다.

가계

남편은 독립운동가 김형순(金衡珣)이다. 이명(異名)은 김덕세, 데이지 D. 킴(Daisy D. Kim)이다.

활동 사항

한덕세는 1894년 12월 28일 전라북도 무주에서 태어났다. 이화학당에서 음악을 전공했고 수학 당시 후일 미국에서 김형제상회를 일구는 데 함께 한 수학 교사인 김호(金乎)를 만났다. 1909년 김형순(金衡珣)과 결혼하였고 1913년 8월 김형순이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건너가 장사로 돈을 번 뒤 1917년 한덕세와 두 딸을 미국에 불러들여 미국에 정착하였다.

로스앤젤레스와 챈들러 등지에서 피아노 레슨 등으로 돈을 벌었고 리들리에 정착해 과일 농장을 열었다. 이때 대한인국민회구미위원부에서 재정 모금 활동을 전개한 김호를 만나 자신의 지분 50%의 절반을 주고 1921년경 남편 김형순과 함께 리들리에서 김형제상회를 열었다. 김형제상회는 과일 농장을 경영하며 새 복숭아 품종인 넥타린을 개발해 사업을 확장시켰고, 묘목 사업과 과일 포장 회사까지 사업을 확장시켜 연간 100만 달러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대규모 회사로 성장하였다.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축하하기 위해 챈들러 거류 한인 동포들을 모아 경축회를 주관하였고 매년 광복 때까지 3.1절 기념행사와 국치 기념일, 그리고 대한인국민회 총회관 낙성식 때 늘 특별 찬양으로 행사를 빛나게 하였다.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개조를 주장하며 국민대표회 개최를 주장하는 움직임이 일자 1921년 12월 17일 중가주에 있는 한인 42명과 함께 다뉴바 한인교회에서 시사연구회를 발기하였다. 발기 목적은 임시정부를 개조하려는 국민대표회의 개최를 반대하고 위기에 처한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李承晩)과 임시정부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서였다.

1929년 리들리 한인교회의 해동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미주 한인 사회에서 처음으로 아동 가극대를 만들어 같은 해 4월 1일 샌프란시스코의 한인 교회에서 공연을 개최해 큰 호응을 불러 일으켰다. 대한여자애국단 중가주지부 단원으로 활동하였고 1944년 10월 28일~11월 5일까지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주최로 로스앤젤레스에서 재미한족전체대표회를 개최할 때 대한여자애국단을 대표해 참가하였다. 1921년부터 1945년까지 인구세, 총회관 건축 의연금, 광복군 후원금, 내지 한재 의연금, 독립금, 중경 동포 위문금 등 각종 의연금 370여 달러를 제공하며 한국 독립운동을 도왔다. 1977년 5월 5일 사망하였다.

묘소

한덕세 묘소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 사우스 리드 애비뉴 2185의 리들리 공동묘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

2014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 영인본』(아세아문화사, 1981)
  • 홍선표, 『자주독립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재미 한인의 꿈과 도전』(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 홍선표, 『재미 한인 독립운동의 표상 김호』(역사공간, 2012)
  • Cha, 「Koreans in Central California(1903-1957)」(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0)
  •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https://knamf.org)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