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숙

원어 항목명 Hwa Suk Lee
한자 李華淑
영문 Hwa Suk Le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3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19년 9월 5일
활동 시기/일시 1942년
몰년 시기/일시 1978년
추모 시기/일시 1995년
출생지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대현동 11-1]
활동지 중국 상하이
활동지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원어 항목명 Hwa Suk Lee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디트로이트지방회 교육위원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

개설

이화숙(李華淑)[1893~1978]은 상하이[上海]에서 대한애국부인회,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한적십자회 등지에서 활동하였고 대한인국민회 디트로이트지방회를 설립하여 독립운동을 펼친 인물이다.

가계

독립운동가 정양필(鄭良弼)이 남편이다.

활동 사항

이화숙은 189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아로 있다가 미국인 선교사의 도움으로 이화유치원에 들어가 공부한 뒤 이화여자전문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하고 1914년 제1회로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 시절 김애식·신마실라·박인덕(朴仁德)과 4인 합창대를 만들어 활동했고, 졸업 후 모교와 평양에서 교사로 근무하다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1919년 3.1운동 발발을 계기로 같은 해 4월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할 때 여성들도 조국 독립운동에 동참해 기여하자는 취지로 김순애(金淳愛)·이선실(李善室)·강천복(姜千福)·박인덕·오의순 등과 대한애국부인회를 발기하고 조직하였다. 초대 회장은 김순애가 선출되었고 같은 해 6월 회원이 60여 명으로 확대될 정도로 조직이 확장되었다. 1919년 9월 임원 개편 때 대한애국부인회 회장에 선출되었고 같은 달 5일에는 김원경(金元慶과 함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원 참사로도 임명되었다.

1919년 7월 이희경(李喜儆)의 주도로 상하이에서 대한적십자회가 재건되자 대한애국부인회를 중심으로 적극 참여해 설립을 도우며 상의원이 되었다. 1919년 11월 23일부터 12월 14일까지 대한적십자회가 재정 모금을 위해 회원 대모집 경쟁회를 펼칠 때 높은 성적으로 자금을 모집해 동상을 수상하였다. 1920년 1월 28일 대한적십자회에서 독립운동으로 인한 부상자와 환자들을 도울 목적으로 간호원 양성소를 개소하자 제1기로 참여해 같은 해 4월 말 졸업하였다.

1920년 당시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서울식당을 경영하던 정양필과 약혼하고 같은 해 8월 미국 뉴욕에 도착하고, 9월 15일 디트로이트에서 결혼하였다. 결혼할 때 유일한(柳一韓)이 신랑 친구 겸 증인으로 참석하였다. 정양필·조오흥(曹五興)·안재창(安載昌)이 1922년 디트로이트에서 정안회사를 설립한 뒤 사업을 확장시켜 나가자 1929년 3.1절을 기해 남편 정양필을 비롯한 한인 동포들과 동지회 디트로이트지회를 설립하였다.

디트로이트에서 링컨 대통령의 생일인 1932년 2월 12일 북미 감리교 여자평신도대회에 한국을 대표해 참석하였다. 한복을 입고 한국의 고유문화를 소개했고 자신의 장기인 한국 노래를 선사하여 청중을 사로잡았다. 또한 일제의 식민 치하에 있는 한국인의 실상을 소개하여 참석자들로부터 동정과 의분을 일으켰다. 이후 미국의 여러 교회에서 연사로 초빙 받기도 하였다. 디트로이트에서 동지회의 활동이 유명무실해지자 1941년 12월 25일 황창하(黃昌夏)·최응호(崔應浩)·조대흥·정양필 등과 대한인국민회 디트로이트지방회를 설립하고 1942~1943년에 대한인국민회 디트로이트지방회의 교육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78년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 영인본』(아세아문화사, 1981)
  • 안형주, 『1902년 조선인 하와이 이민선을 타다』(푸른역사, 2014)
  • 강영심, 「김순애(1889~1976)의 생애와 독립운동」(『한국근현대사연구』63, 한국근현대사학회, 2012)
  • 조규태, 「대한적십자회의 설립과 확장, 1919~1923」(『한국민족운동사연구』102,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 「임시정부 국무원 참사, 독립운동가 이화숙」(『충청일보』, 2021. 1. 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