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Il Han New |
---|---|
한자 | 柳一韓 |
영문 | Il Han New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네브래스카주 뉴욕주 펜실베이니아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895년 1월 15일 |
---|---|
수학 시기/일시 | 1908년 |
수학 시기/일시 | 1909년 |
수학 시기/일시 | 1916년 |
수학 시기/일시 | 1939년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4월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 |
몰년 시기/일시 | 1971년 3월 11일 |
추모 시기/일시 | 1995년 |
출생지 | 평안남도 평양 |
거주|이주지 | 미국 네브래스카주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
활동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활동지 | 미국 뉴욕주 |
묘소 |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8[항동 1-7] 유한공업고등학교 내 유한동산 |
원어 항목명 | Il Han New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유한양행 사장|대한상공회의소 초대 회장 |
일제 강점기 미국에서 활동한 기업가이자 독립운동가.
본명은 유일형(柳一馨). 아버지는 유기연(柳基淵)이고 어머니는 김기복(金基福)이다. 6남 3녀 중 장남이다.
유일한은 1895년 1월 15일 평양에서 출생하였다. 1905년 9월 박희병(朴羲秉)을 따라 이종희(李種熙)·이관수와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네브래스카주 커니소학교와 커니고등학교에서 공부하며 1909년 6월 커니에서 박용만(朴容萬)이 설립한 한인소년병학교에 들어갔다. 한인소년병학교에서 1911년 8월 제1회로 졸업하기까지 군사 훈련과 철저한 민족 교육을 받았고 이러한 영향은 이후 한국 독립운동과 민족 경제 수립을 위한 활동에 큰 바탕이 되었다.
1919년 4월 14일부터 4월 16일까지 서재필(徐載弼)·이승만(李承晩)·정한경(鄭翰景)이 필라델피아에서 주최한 제1차 한인회의에 참가해 독립 후 국가 건설의 비전을 담은 「한국인의 목표와 열망」이란 결의문을 기초위원장으로서 김현구(金鉉九)·조안우와 함께 작성해 발표하였다. 1925년 4월 필라델피아에서 서재필·정한경·이희경과 유한주식회사를 설립하였고 1927년 3월 한국에 들어와 같은 해 12월 유한양행을 설립해 민족 경제 수립을 위한 경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8년 5월 미국에 입국해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남가주대학교[USC] 경영대학원에서 공부하며 1942년 8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43년 7월 집행부 내 전후계획연구부 위원장으로 『Korea and The Pacific War[한국과 태평양 전쟁]』이란 영문 책자를 간행하였는데, 이는 미국 전략첩보국[OSS]의 요청으로 작성된 것으로 한국의 독립과 광복 후 자립된 독립 국가로서의 전망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1943년 12월 뉴욕에서 고려경제회[Korea Economy Society]를 조직하여 광복 후 민족 경제 건설을 위한 준비를 하였고 1944년 6월 『Korea Economic Digest[고려경제회보]』라는 영문 잡지를 발간하였다. 1945년 1월 전경무(田耕武)·정한경과 버지니아주 핫스프링스에서 개최된 태평양국제대회[IPR]에 참가해 외교 활동을 펼쳤다. 같은 해 2월 미국 전략첩보국[OSS]이 주관한 냅코프로젝트에 참가해 아이넥팀장으로 한반도 침투를 위한 군사 훈련에 참가했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1945년 9월 제대하였다. 1946년 9월 한국으로 들어와 경성상공회의소와 조선상공회의소의 회장으로 활동했고, 자신이 설립한 유한양행을 토대로 교육과 사회사업에 헌신하였다. 1971년 3월 11일 서울에서 사망하였는데, 죽기 전에 전 재산을 유한재단에 기증하였다.
저서로 1928년에 펴낸 『When I was a Boy in Korea[나의 한국 소년 시절]』 등이 있다.
유일한 묘소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 유한공업고등학교 교내에 조성된 유한동산에 있다.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