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기백

원어 항목명 Gi Baek Yang
한자 梁基伯
영문 Gi Baek Ya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인물(일반)
지역 미국 워싱턴 D.C.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0년 1월 20일
수학 시기/일시 1939년
수학 시기/일시 1950년
수학 시기/일시 1958년
수학 시기/일시 1960년
활동 시기/일시 1949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활동 시기/일시 1950년
활동 시기/일시 1995년
활동 시기/일시 1999년
활동 시기/일시 2001년
몰년 시기/일시 2015년 1월 16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5년
출생지 전라남도 나주시
거주|이주지 미국
학교|수학지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미국 뉴저지주 웨스트 롱 브랜치
학교|수학지 미국 워싱턴 D.C.
학교|수학지 미국 워싱턴 D.C.
활동지 미국 워싱턴 D.C.
원어 항목명 Gi Baek Yang
성격 학자
성별
대표 경력 미국 의회 도서관 아시아부장
정의

1949년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의회 도서관 한국과 직원 1호이자 미국 의회 도서관 아시아부장을 지낸 학자.

개설

양기백(梁基伯)[1920~2015]은 1950년부터 1995년까지 미국 의회 도서관에 근무하면서 미국 도서관에 한국과를 설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반세기 전 270권이었던 의회 도서관 한국 관련 자료를 12만 5000권으로 늘리는 한편, 한국 관련 자료를 정리한 책을 10권 넘게 출판하였다.

가계

딸은 양원경과 양안경, 양말경이다.

활동 사항

양기백은 1920년 1월 20일 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났다. 1939년에 숭실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45년에 미군정청 관재과장을 지냈으며, 1949년에 한국 정부 미국 국비 유학생 1호로 유학하였다. 1950년 미국 일리노이주 몬마우스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의회 도서관 한국문헌과 공채 1호로 채용되어 한국과장, 동양학부장 등을 역임하며 45년간 근무하였다. 1958년 아메리칸대학교 행정학 석사로 졸업하였으며, 1960년에는 미국가톨릭대학교에서 도서관학 석사학을 전공하였다. 1975년에는 동국대학교 명예 정치학박사가 되었다.

1995년에 미국 의회 도서관 아시아부장을 지냈다. 퇴임 이후에는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의 고문을 맡아 ‘사료실’을 만드는 데 깊이 관여하였으며, 한국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저술 활동을 하는 데 몰두하였다. 미국 정부 기관을 찾아다니며 한미 관계의 중요한 사건이나 정책, 기록물을 찾아내어 『주미한국대사관 50년사』[1999]와 『미 의사록 한국관계-기록 요약집, 1878~1949』[2001] 등 7권의 사료집을 펴냈다. 이러한 활동에는 양기백의 살아온 이력이 영향을 주었는데,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에서 생활하다 미국으로 건너갔기 때문에 한국어와 일본어, 영어에 모두 능통하였고, 학문적으로도 정치, 행정, 도서관학을 두루 섭렵하였다. 양기백의 이러한 업적은 『중앙일보』 기자 정운현에 의해 기록된 바 있다[1998].

저술 및 작품

양기백의 저술로는 『한국공산주의운동[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1918~1948』[1968]과 『비동맹운동[Non-Alignment Movement]』[1980], 『한국전쟁서지목록[Korean War Bibliography]』[1990], 그리고 『주미한국대사관 50년사』[1999]와 『미국 의사록 한국관계 기록 요약집-1887~1949』[2001], 『생각케 하는 말과 글-한 아름』[2005], 『우리 책 말풀이』[2005], 『한국 문화와 예술과 문명의 생리와 걸림돌』[2005], 『한·일·중 전통 사회의 모습』[2005], 『국가와 문화와 국학이란 뭘까요』[2006] 등이 있다.

참고문헌
  • 량기백, 『국가와 문화와 국학이란 뭘까요』(선인, 2006)
  • 「한국사료 발굴 방선주.양기백씨 서훈 추진」(『연합뉴스 』, 1999. 4. 16.)
  • 정운현, 「재미(在美) ‘한국학 대가’ 고(故) 양기백 박사의 삶과 업적」(『진실의길 』, 2015. 2. 1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