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호(安昌鎬)

원어 항목명 Chang Ho Ahn
한자 安昌鎬
영문 Chang Ho Ah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5년 2월 2일
수학 시기/일시 1903년 3월
수학 시기/일시 1907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07년
활동 시기/일시 1910년
활동 시기/일시 1916년
활동 시기/일시 1927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28년
활동 시기/일시 1932년
활동 시기/일시 1934년 4월
활동 시기/일시 1946년
몰년 시기/일시 1966년 12월 30일
추모 시기/일시 1993년
출생지 경기도 양주군 별내면 덕송리 식송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묘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3]
원어 항목명 Chang Ho Ah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 지역에서 활동한 감리교 목사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안창호(安昌鎬)[1885~1966]는 천안 3.1운동으로 옥고를 치렀고 하와이에서 목사로 활동하며 하와이 애국단,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등에서 김구(金九)를 비롯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원하며 한국 독립에 헌신한 인물이다.

가계

호는 죽사(竹史). 아버지는 안재긍(安載兢)이며 4남매 중 장남이다.

활동 사항

안창호는 1885년 경기도 양주군 별내면 덕송리 식송[심근솔]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사망으로 12세 때 고향 심근솔을 떠나 인천으로 이사해 내리교회를 다니며 기독교인이 되었고 배재학당에 편입해 신지식을 배웠다. 1906년 내한한 선교사 프랭크 얼 크랜스턴 윌리엄스(Frank Earl Cranston Williams)의 한국어 선생으로 발탁되어 한국어를 가르치고 대신 영어를 배웠다.

1907년 윌리엄스 선교사가 공주 읍내 감리교회 목사로 가게 되자 공주로 가서 통역인 겸 전도인으로 활동하였다. 서울의 협성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1910년 목사 안수를 받았고 공주교회 목사로 1915년까지 시무하였다. 1916년 충청남도 공주군 장기면 신관리[현 공주시 신관동]에 교회 설립 인가를 받았으나 천안 지방 순회교구 순회 목사로 파송되면서 무산되고 대신 1917년 6월 천안읍에 두 번째 감리교회를 설립하였다. 천안에서 목회 활동을 하던 중 3.1운동이 일어나 입장과 병천까지 만세 시위 운동이 확산될 때 시위 현장에 있지 않았으나 일본 경찰이 안창호의 책상에서 비밀 단체 가입서를 발견하고 체포하여 공주로 압송되었다. 공주 감옥에서 6개월간 옥고를 치렀고 윌리엄스 선교사의 석방 운동으로 8월 말 무죄 선고를 받고 9월 석방되었다.

출옥 후 천안을 떠나 1925년까지 진남포, 평양, 용강, 사리원의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펼쳤다. 감리교 조선선교회의 파송 선교사로 선정되어 1926년 6월 10일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하여 『한인교회보』 주필로 있다가 1927년 3월 오아후섬 와히아와의 올리브 한인감리교회에 황사용 목사의 후임 목사가 되었다. 조미구락부를 비롯해 강영각(姜永珏)·박신애(朴信愛)·임성우(林成雨) 등과 협력하여 교파를 초월한 한인 청소년웅변대회와 합창대회 등 한인 2세를 위한 청소년 운동을 펼치며 교회를 발전시켰다.

전 민족의 통일을 촉성해 독립운동의 단일 기관을 설립할 목적으로 1928년 2월 대한민족통일촉성회를 발기할 때 선전부 위원으로 참석하였다. 와히아와 지역 한인들과 1932년 5월 임시정부후원회를 결성해 상하이[上海]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하였고 특히 특무 공작을 이끈 김구의 한인애국단을 적극 지원하였다. 그 일로 1934년 4월 하와이 애국단을 설립하였고 1940년 5월 이를 발전시킨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에서 김구를 비롯한 충칭[重慶]의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후원하였다. 광복 후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한국 파견 대표단을 파견할 때 대표단의 일원이 되어 1946년 2월 한국에 들어가 좌우 합작을 통한 통일 정부 수립 운동을 펼치다 같은 해 11월 하와이로 돌아왔다. 1966년 12월 30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사망하였다.

묘소

안창호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3] 국립대전현충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93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 영인본』(아세아문화사, 1981)
  • 홍선표, 『자주독립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재미 한인의 꿈과 도전』(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 안형주, 『죽사 안창호선생 자료집』(죽산안씨문화연구회,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