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영호

원어 항목명 Yeong Ho An
한자 安永浩
영문 Yeong Ho A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5년
활동 시기/일시 1905년
활동 시기/일시 1936년
활동 시기/일시 1940년 12월
추모 시기/일시 2014년
출생지 평안남도 강서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원어 항목명 Yeong Ho A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 집행위원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가계

안영호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1878~1938]의 사촌 동생이다.

활동 사항

안영호(安永浩)[1895~?]는 1895년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태어났다. 1905년 아버지와 함께 하와이로 노동 이민하였다. 1917년부터 미주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으나 본격적인 독립운동은 1930년대 중반부터 확인된다. 1936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 실업부원으로 선출되어 1938년까지 활동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는 이후 2년간 활동이 지지부진하다 1940년 4월에야 활동을 재개하였다. 회무(會務)를 새롭게 개시한 지방회에서 선전 위원으로 임용되었고, 1940년 12월에 개최된 통상회에서 명년도(明年度)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중일전쟁 이후 재미 한인 사회 통합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 또한 인구세 수봉(收捧)을 재개하며 한인 독립운동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1941년 9월과 11월에는 2회에 걸쳐 국치 기념식과 순국선열 기념식을 개최하여 한인들의 애국심을 고취시켰다. 1941년 12월에 일본의 진주만 공습 후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는 한인들을 소집하여 전시 부담금을 추가로 부담하기로 결의하였다. 전시 부담금 모집은 대한인국민회 전체 지방회 중 가장 먼저 시작된 것으로 이는 당시 다른 지방회에 모범이 되는 것으로 칭송을 받았다. 1942년에는 4회에 걸쳐 대한인국민회 기념식 및 3.1운동 기념식, 현기식, 대일 선전 기념식 등의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3년 8월 30일 충칭[重慶]의 한국광복군 부대가 인도로 파견되었다. 이를 두고 충칭 통신원 엄항섭(嚴恒燮)은 “한국광복군의 최초의 파병이며 제2차 세계대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라는 취지를 미주에 전달하였다. 이어서 엄항섭은 한국광복군에 대한 많은 후원을 요청하였다. 이에 안영호는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 집행위원장으로서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 “우리 독립운동에 조금이라도 유익이 될 것 같으면 언제 어디든지 보내는 것이 좋다. 하여 우리의 광복을 위하여는 시세와 경우와 다소를 묻지 말고 노력하여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1944년에는 안영호는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 집행위원장의 업무를 내려놓고 실업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독립운동의 거의 모든 기간을 오클랜드에서 보냈으며,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에서 한인 단결 및 한국광복군 후원에 노력하였다.

상훈과 추모

2014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한국 독립운동사 자료』3(국사편찬위원회, 1973)
  •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료집』12(국사편찬위원회, 2006)
  • 『신한민보』(1936. 12. 3.|1937. 12. 9.|1941. 2. 13.|1941. 12. 18.|1942. 1. 22.|1943. 9. 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