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일서

원어 항목명 Il Seo Byeon
한자 邊日曙
영문 Il Seo Bye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미국 미시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4년 7월 9일
활동 시기/일시 1925년 4월
활동 시기/일시 1937년 1월
몰년 시기/일시 1971년 1월 14일
추모 시기/일시 2001년
출생지 평안남도 평양
활동지 미국 미시간주 시카고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원어 항목명 Il Seo Byeo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에서 미군으로 복무하며 한반도 침투 훈련에 참가하여 한국 독립을 위해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변일서(邊日曙)[1904~1971]는 미국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활동했고, 한국 독립을 도모하기 위해 미일전쟁 직후 미군에 입대해 미 전략첩보국[OSS]이 주관한 한반도 침투 작전인 냅코프로젝트(Napko Project)에 차출되어 특무 공작 훈련을 수행한 인물이다.

활동 사항

변일서는 1904년 7월 9일 평양에서 출생하였다. 일본 도쿄[東京] 게이오기주쿠[慶應義塾]에서 1년 동안 수학하였다. 중국 남경대학을 졸업한 후 1922년 4월 18일 미국에 도착했고, 시카고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1년간 공부하였다. 1925년 국내에서 발생한 기근 구제를 위해 2달러를 의연하며 한국 독립운동에 나섰다. 1925년 4월 북미 대한인유학생총회에서 집행위원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0년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개최한 3.1절 기념식 때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 후원금을 의연하였다. 1935년 2월 3일 각 단체별로 이루어지는 3.1절 기념식을 연합해 공동 행사로 치르기 위해 공동회를 조직할 때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여 공동회 서기로 활동하였다. 1937년 1월 대한인국민회 중심의 부흥 운동으로 재미 한인 사회를 합동시키는 데 일조할 목적으로 대한인국민회 뉴욕지방회에 정식 가입하였다.

미일전쟁이 일어난 후 미국의 대일 전쟁을 돕기 위해 1943년 8월 5일 미군에 입대한 후 미네소타의 캠프 새비지(Camp Savage)에 있는 군정보학교[Military Intelligence School]에서 이태모(李泰模)와 함께 3개월간 정보 교육을 받았다. 미국 전략첩보국의 공작 훈련[Field Experimental Unit, FEU]에 배속된 후 1944년 9월 21일부터 11월 4일까지 워싱턴 D.C.에 있는 전략첩보국(OSS)에서 훈련을 받았다.

미 육군 하사로 복무하며 미국 전략첩보국이 비밀리에 계획한 한반도 침투 작전인 냅코프로젝트에 차출되어 1945년 2월 2일부터 9월 5일까지 로스앤젤레스 인근에 있는 카타리나섬에서 특무 공작 훈련을 받았다. 냅코프로젝트 때 ‘아이넥조[Einec Mission]’에 편성되어 조장 유일한(柳一韓)을 비롯해 이초(李超)·차진주(車眞宙)·이종흥 등과 훈련하였다. 침투 훈련 후 장차 서울로 침투할 계획이었으나 일본의 항복 선언으로 계획이 무산되어 1945년 9월 5일 미군에서 제대하였다. 1971년 1월 14일에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1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 영인본』(아세아문화사, 1981)
  • 『NAPKO project of OSS-재미 한인들의 조국 정진 계획』(국가보훈처, 2001)
  •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https://knamf.org)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