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Don Uk Park |
---|---|
한자 | 朴敦郁 |
영문 | Don Uk Park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8년 8월 12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4년 8월 |
활동 시기/일시 | 1931년 |
추모 시기/일시 | 2014년 |
출생지 |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면 화선리 |
거주|이주지 | 미국 오하이오주 |
거주|이주지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활동지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활동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원어 항목명 | Don Uk Park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회장 |
일제 강점기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돈욱(朴敦郁)[1888~?]은 미국 대한인국민회 오하이오지방회 및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박돈욱은 1888년 8월 12일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면 화선리에서 태어났다. 1914년 8월 이민국의 허가를 얻어 도미한 이래 1919년 대한인국민회 오하이오지방회 설립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이때 ‘국민회와 우리’라는 연설을 하며 미주 한인들의 대한인국민회 참여를 권고하였다. 오하이오에서 시카고로 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서기로 임용되었다. 1924년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구제원으로 활동하였다.
1931년에는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에 대한 세계의 우려가 집중되는 가운데 시카고에서 한인 통합을 위해 분주히 움직였다. 중일전쟁이 시작되던 1937년에는 보스턴을 방문하고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며 최후의 1인까지 독립운동에 참여할 것을 독촉하였다.
미국의 참전으로 제2차 세계대전의 승기가 연합국으로 넘어오는 것을 목도하고 보스턴 재류 한인들을 대상으로 임시 회의를 개최하였다. 임시 회의에서 일본 본토 공격에 성공하는 미국 비행사를 치하하기 위한 상금 모금을 결정하였다. 한인들과 함께 보스턴 시장 제임스 맥카디를 방문하여 국방 공채 구매를 인증하는 동시에 미국 비행사들에게 줄 상금을 전달하였다. 시장인 맥카디가 한인들의 방문을 매우 기뻐하고 이러한 사실들을 남기기 위해 신문 기자 및 사진사를 초빙하면서 미국 언론에 행사가 널리 공개되었다. 미국 라디오 또한 한인들의 미국 비행사 지원에 대한 소식을 전파하였다. 이외에도 1915년 이래 광복 때까지 수차례 의무금, 독립운동 자금 등을 성실히 납부하였다.
2014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