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수

원어 항목명 Nam Su Bak
한자 朴南秀
영문 Nam Su Bak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인물(세계)/예술인
지역 미국 뉴저지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8년 5월 3일
수학 시기/일시 1937년
수학 시기/일시 1940년
활동 시기/일시 1940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활동 시기/일시 1948년
활동 시기/일시 1951년
활동 시기/일시 1951년
활동 시기/일시 1954년
활동 시기/일시 1957년
활동 시기/일시 1957년
활동 시기/일시 1958년
활동 시기/일시 1959년
활동 시기/일시 1964년
활동 시기/일시 1970년
활동 시기/일시 1975년 4월
활동 시기/일시 1981년
활동 시기/일시 1992년
활동 시기/일시 1992년
활동 시기/일시 1993년
몰년 시기/일시 1994년 9월 17일
출생지 평안남도 평양시 진향리
거주|이주지 미국 플로리다주
거주|이주지 미국 뉴저지주
학교|수학지 일본 도쿄 주오대학
원어 항목명 Nam Su Bak
성격 시인
성별
대표 경력 『사상계』 상임 편집위원
정의

1975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생활의 다양한 경험을 새의 이미지로 형상화한 시인.

활동 사항

박남수(朴南秀)[1918~1994]는 1918년 5월 3일 평안남도 평양시 진향리에서 태어났다. 1937년 평양 숭인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 도쿄 주오대학[中央大學]에서 법학을 공부하였고 1940년 졸업하였다. 조선으로 돌아와 1945년부터 조선식산은행 진남포지점에서 은행원으로 생활하였다. 1948년 한국식산은행 평양지점장을 사임하였다.

일본 유학 전부터 희곡 「기생촌(妓生村)」이 『조선문단』에 당선되는 등 문학적 재능을 보였으며 정지용(鄭芝溶)의 추천을 받아 『문장(文章)』에 시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詩作) 활동을 시작하였다. 분단 이후 조선문학예술총연맹의 문예 정책에 비해서 순수시 세계를 추구하였으며 1951년 1.4후퇴 때 월남하여 한국 사회에 정착하였다. 1951년 『주간문학예술』을 창간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꾸준히 시작 활동에 몰두하였다. 1957년 한국시인협회를 창립하였다. 1954년 『문학예술』 편집위원, 1959년 『사상계』에서 상임 편집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북한에 두고 온 어머니와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죄의식은 끊임없이 박남수의 심상을 흔드는 원초적 고통으로 작용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뚜렷이 자리를 잡지 못한 채 불안정한 생활을 이어 가다가 1975년 4월 가족이 있는 미국 플로리다주로 이주하였다. 이후 디아스포라(Diaspora) 이주민의 현실과 정체성에 관한 시를 발표하였다. 1994년 9월 17일 뉴저지주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시집으로는 1940년 『초롱불』[삼문사], 월남 이후 1958년 『갈매기 소묘(素描)』[춘조사], 1964년 『신(神)의 쓰레기』[모음사], 1970년 『새의 암장(暗葬)』[문원사] 등을 냈다. 미국으로 이주한 직후에는 시작 활동이 없다가 1981년 『사슴의 관(冠)』[문학세계사], 1992년 『서쪽 그 실은 동쪽』[인문당], 1993년 『그리고 그 이후(以後)』[문학수첩] 등의 시집을 냈다.

상훈과 추모

1958년 제5회 아시아 자유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92년 공초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 권영민, 『한국 현대 문학사 1945~1990』(민음사, 1993)
  • 박남수, 『박남수 전집』 2-산문(한양대학교 출판원, 1998)
  • 문덕수·김용직·박명용·정순진 편, 『한국 현대 시인 연구』(푸른사상사, 2001)
  • 장만호, 「박남수론: 한 월남 문인의 이력과 순수의 이면-수기와 전집 미수록 시를 중심으로」(『한국시학연구』 32, 한국시학회, 201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