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린

원어 항목명 Hyung Lin Kim
영문 Hyung Lin Ki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인물(일반)
지역 미국 뉴욕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9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1년
활동 시기/일시 1962년
활동 시기/일시 1962년
활동 시기/일시 1987년
몰년 시기/일시 1990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7년
출생지 평안북도 강계
거주|이주지 미국
학교|수학지 미국 뉴욕주 뉴욕시
학교|수학지 미국
학교|수학지 미국 아이오와주
활동지 미국 뉴욕주
원어 항목명 Hyung Lin Kim
성격 교육자
성별
대표 경력 뉴욕 한인회 제3대 회장|뉴욕 한국어학교 설립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주 최초의 한국어 학교를 설립하고 뉴욕 한인회 제3대 회장을 역임한 교육자.

가계

배우자는 독립운동가였던 김랑이다.

활동 사항

김형린[1899~1990]은 평안북도 강계에서 태어났다. 1919년 평양 숭실전문학교에서 시작된 평양만세사건에 가담하였으며, 평양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모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 1921년 미국 유학길에 올라 캘리포니아대학교를 수료하고 듀북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시카고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등에서는 심리학과 교육학을 연구하였다.

1962년에 뉴욕 한인회 제3대 회장으로 부임하였을 당시 최초로 여성 부회장에 송한나를 임명하였고, 특히 한인 사회에서 어린이를 위한 사업을 하였다. 미국에서 자라는 한인 2세들을 위해 한글 교육을 제대로 시켜 보자는 애국운동의 일환으로 1962년에뉴욕 한국어학교를 개인적으로 설립하고, 교포 2세의 어린이 국어 쓰기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한인회 사업으로 ‘어린이의 밤’을 개최하였으며, 어린이 동화대회를 주최하였다. 이에 뉴욕 한국어학교 교장이었던 허병렬은 김형린을 두고 “뉴욕의 발전사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인물”이라고 언급하였다. 김형린은 존경하는 인물로 안창호(安昌浩)를 선택하기도 하였다. 1977년에 부인 김랑과 사별하였으며, 1987년에는 3.1절을 계기로 뉴욕 한인회를 통해 한국을 방문하였다. 이후 1990년 맨해튼 그리니치 빌리지 23 커머스 스트리트 2층에서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 「뉴욕한인 125년(43) 김형린, 뉴욕 최초의 한국어학교 설립」(『한국일보』, 2009. 8. 31.)
  • 「뉴욕한인이야기/1950년대 한인사회 여성파워 베씨김」(『한국일보』, 2011. 11. 17.)
  • 재미한국학교 동북협의회(http://www.naksnec.org)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