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Chang Se Kim |
---|---|
한자 | 金昌世 |
영문 | Chang Se Kim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뉴욕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3년 2월 22일 |
---|---|
수학 시기/일시 | 1900년 |
수학 시기/일시 | 1902년 |
수학 시기/일시 | 1904년 |
수학 시기/일시 | 1905년 |
수학 시기/일시 | 1907년 |
수학 시기/일시 | 1913년 10월 |
수학 시기/일시 | 1923년 |
활동 시기/일시 | 1909년 |
활동 시기/일시 | 1917년 |
활동 시기/일시 | 1918년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2월 23일 |
활동 시기/일시 | 1925년 |
활동 시기/일시 | 1932년 |
몰년 시기/일시 | 1934년 3월 15일 |
추모 시기/일시 | 2001년 |
출생지 | 평안남도 용강군 서화면 죽본동 |
학교|수학지 |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
활동지 | 미국 뉴욕주 |
활동지 | 중국 상하이 |
원어 항목명 | Chang Se Kim |
성격 | 독립운동가|의사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중국 등에서 한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의사이자 독립운동가.
김창세는 1893년 2월 22일 평안남도 용강군 서화면 죽본동에서 태어났다. 세브란스연합의학교 졸업 후 1917년과 1918년 순안교회병원에서 의사로 근무한 후 제칠일안식일교회 의료 선교사로 1918년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안식일교회에서 운영하는 홍십자병원에서 외과의사로 근무하였다. 1920년 2월 23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의료선교사대회에 안식일교회를 대표해 참가하였다. 상하이에 머무는 동안 손위 동서인 안창호를 만나 건강을 돌보아 주며 독립 공채 모집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8월 29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설립 인가한 대한적십자회에서 감사 및 적십자구호원양성소 교수로 활동하며 독립 전쟁에 수행할 의료 인력을 양성하였다.
1920년 11월 미국으로 건너간 직후 12월 19일 흥사단에 입단했고, 1921년 11월의 워싱턴회의 개최를 대비해 한국 독립을 돕는 활동을 펼쳤다. 1923년 존스홉킨스대학교 보건대학원에 입학해 1925년 1월 공중보건학으로 의학 박사를 취득한 후 귀국해 같은 해 10월부터 1927년 8월까지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조교수로 위생학과 세균학을 강의하였다. 국내에 있는 동안 수양동우회 의사부장으로 무실역행(務實力行)과 인격 수양, 단우 모집 활동을 펼쳤다.
1927년 11월 상하이로 가서 위생교육협회의 현장 책임자가 되어 각종 강연과 글로써 공중위생 지원 활동을 펼쳤고, 1928년 국민당 정부의 후원으로 항저우[杭州]의 서호(西湖)에서 결핵 요양소 책임자로 결핵 및 마약 퇴치 활동과 영양 및 환경 개선 활동을 벌였다. 1930년 1월 뉴욕에서 열리는 국제의학회 회의 참석차 미국으로 건너가 결핵 치료를 위한 의학 연구와 아울러 중국 항저우에서 시작한 결핵 요양소 설립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1년 뉴욕 시장의 주선으로 차이나타운에 의료 시설을 만들어 위생국장으로 활동했고 뉴욕 맨해튼 보이스카우트 보건과장으로 근무하였다. 1932년 4월 윤봉길(尹奉吉) 의거로 안창호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국내로 이송되자 대한인국민회의 지원 속에 서재필(徐載弼)과 협력하여 미 국무부와 상원의원들을 방문해 안창호 석방 활동을 펼쳤다. 1934년 3월 15일 뉴욕에서 사망하였다.
2001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