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목

원어 항목명 Jin Mok Kim
한자 金鎭睦
영문 Jin Mok Ki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미시간주  하와이주  뉴욕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9년 12월 8일
활동 시기/일시 1921년
활동 시기/일시 1929년
활동 시기/일시 1941년
활동 시기/일시 1949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몰년 시기/일시 1990년 3월 20일
추모 시기/일시 1990년
출생지 충청북도 제천시
거주|이주지 중국 상하이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미시간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뉴욕주
묘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원어 항목명 Jin Mok Kim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본토와 하와이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김진목(金鎭睦)[1899~1990]은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대한인동지회, 뉴욕 학생회, 국어학교 등에서 재미 한인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 의연금을 납부하는 등 한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인물이다.

활동 사항

김진목은 1899년 12월 8일 충청북도 제천에서 출생하였다. 1921년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미국 유학을 목적으로 상하이에서 출발해 1923년 9월 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정안(鄭安)주식회사를 운영하는 정양필(鄭良弼)을 비롯해 안재창(安載昌), 조오흥(曹五興), 유기원, 전덕기(全德基) 등과 1928년 12월 25일 동지회(同志會) 지방회 설립을 발기하여 이듬해 3.1절 기념식 때 동지회 디트로이트지방회를 공식 설립하고 서기로 활동하였다.

1931년 3월 북미 대한인유학생총회 산하 뉴욕 학생회에서 뉴욕으로 오는 고학생들에게 직업을 알선하기 위한 조사위원으로 활동했고, 1932년 류미한인[조선인]산업협회에 가입하였다. 1938년 6월부터 8월까지 대한인국민회 중가주지방회가 운영하는 ‘다뉴바 하기 국어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였다. 1939년과 1940년 다뉴바 한인교회에서 중가주 지역 3.1절 기념식 때 순국선열 추도문과 독립운동 약사를 낭독하며 행사를 진행하고 3.1 성금을 의연하였다.

1941년도 대한인국민회 중가주지방회 서기와 실업위원을 역임하였으나 1942년 12월 대한인국민회를 떠나 동지회에 들어갔다. 1943년 5월 15일 다뉴바 한인교회에서 설립한 동지회 중가주지방회, 1945년 5월 26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1회 동지회미포대표회, 그리고 1945~1946년도 동지회 북미지방총회에서 각각 서기로 활동하였다. 1948년경 하와이 호놀룰루로 이주해 1949년 한미무역회사를 설립했고, 1955년 동지회 릴리하지방회 회장을 역임했으나 1957년 3월 동지회에서 탈퇴하였다. 1990년 3월 20일 사망하였다.

묘소

김진목 묘소는 국립대전현충원[독립유공자 제1묘역 167]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 영인본』(아세아문화사, 1981)
  • 홍선표, 『자주독립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재미 한인의 꿈과 도전』(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 홍선표, 「해방 이전 대한인동지회의 조직과 활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33,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국립대전현충원(https://dnc.go.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