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평

원어 항목명 Il Pyong Kim
한자 金一平
영문 Il Pyong Ki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인물(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1년
수학 시기/일시 1953년
수학 시기/일시 1957년
활동 시기/일시 1951년
활동 시기/일시 1953년
활동 시기/일시 1959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60년 6월
활동 시기/일시 1963년
활동 시기/일시 1963년
활동 시기/일시 1965년
활동 시기/일시 1973년
활동 시기/일시 1978년
활동 시기/일시 1978년
활동 시기/일시 1983년
활동 시기/일시 1996년
활동 시기/일시 2000년
활동 시기/일시 2003년
몰년 시기/일시 2017년 10월 23일
출생지 강원도 영월군
거주|이주지 미국
학교|수학지 강원도 원주시
학교|수학지 미국 켄터키주
학교|수학지 미국 뉴욕주
활동지 미국 뉴욕주
활동지 미국 코네티컷주
원어 항목명 Il Pyong Kim
성격 정치학자|교육자
성별
대표 경력 인디애나대학교 정치학과 교수|코네티컷주립대학교 정치학과 교수|한양대학교 대학원장|코네티컷 한인회 이사
정의

1953년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학 연구의 기초를 다진 정치학자이자 교육자.

개설

김일평(金一平)[1931~2017]은 서울대학교에 재학하던 중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미 제8군 사령부 통역으로 근무하였고, 1951년부터 1953년 7월까지 육군본부 연락장교로 복무하였다. 1953년에 미국 유학을 떠나 컬럼비아대학원에서 공부하였으며, 하와이대학교 동서문화센터와 인디애나대학교 정치학과를 거쳐 1970년부터 1997년까지 코네티컷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미주 한국학 1세대 전문가이자 정치학자로서 강연·학술 활동을 하였으며, 뉴욕 한인회 창립준비위원 및 초대 실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가계

부인은 정현용, 장녀는 김애련, 차녀는 김금련이다.

활동 사항

김일평은 1930년 강원도 영월에서 태어나 원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고등학생 시절 에스터 레어드(Esther J. Laird)[나애시덕(羅愛施德), 1901~1968] 선교사의 영어 회화반에서 회화를 배웠다.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정치학과에 입학하였다가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미 제8군 사령부 민간인 통역관으로 근무하였다. 육군본부의 연락장교[통역장교] 제7기생 모집 시험에 합격하여 1951년부터 1953년 7월까지 육군 제2 군단에서 복무하였으며, 1953년에 미국 동성훈장[Bronze Star Medal]을 받았다.

김일평은 육군 중위로 제대한 뒤 미국 유학길에 올라 1953년부터 1957년까지 미국 켄터키주 애즈베리대학[Asbury College]에서 공부하였다. 1957년 뉴욕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하여 정치학을 공부하고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59년 9월에는 뉴욕 한인유학생회 회장으로 당선되어 한국문화제를 개최해 미국 사회에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였으며, 1960년 한국에서 4월 혁명이 일어나자 뉴욕에서 이를 지지하는 학생 시위를 이끌었다. 그해 6월 뉴욕 한인회 창립준비위원으로 참여하여 1963년까지 뉴욕 한인회 초대 실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63~1965년 하와이대학교 동서문화센터 연구원 교수, 1965~1970년 인디애나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1970~1997년 코네티컷주립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78~1980년에는 한양대학교 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1983~1993년에는 코네티컷 한인회 이사를 지냈으며, 1996년 3월 창립된 국제한국학회[International Council of Korean Studies] 회장[1996~2000] 및 학회지 『국제한국학보[IJKS]』 초창기 편집장으로 활동하였다. 또 미주 한인 이민 100년을 맞아 출간된 『대뉴욕 한인 100년사』[2004]와 그 영문판 『Korean-Americans: Past, Present and Future』[2004]의 편찬위원장을 맡았다. 2017년 10월 23일 코네티컷주 스토어스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일평의 저술로는 영문으로 출판된 다수의 학술, 연구서와 국내 도서가 있다. 영문판으로는 『The politics of Chinese communism[중국 공산주의의 정치]』[1973], 『Communist politics in North Korea[북한의 공산주의 정치]』[1975], 『Korean challenges and American policy[한국의 도전과 미국의 정책]』[1991], 『The legacy of the Soviet bloc[소비에트 블록의 유산]』[1997], 『Two Koreas in transitions[전환기에 있는 두 코리아]』[1998],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Korea[북한의 역사사전]』[2003] 등이 있고, 국내 도서로는 역서로 바네트 A. 도크[Barnett, A. Doak]의 『중공(中共)과 아세아(亞細亞)[Communcist China and Asia-Challenges to American Policy]』[아세아문제연구소 번역총서 5, 동아출판사, 1968]를 냈으며, 저서로 『강대국 정치와 한반도』[서향각, 1978], 『모스크바에서 북경까지-김일평교수의 중소여행기』[건화출판사, 1982], 『중국혁명과 군중노선』[정음사, 1987], 『북한정치경제입문』[한울, 1992], 『멀리서 본 한국 옆에서 본 한국인』[이목, 1992], 『세기의 갈림길에서-세계화 시대의 한반도 통일과 한민족』[교수신문, 2000] 등을 출간하였다.

상훈과 추모

1953년 미국 동성훈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 뉴잉글랜드 미주한인이민 백주년기념사업회, 『뉴잉글랜드 한인사』(선학사, 2004)
  • 국사편찬위원회, 『북미주한인의 역사』(국사편찬위원회, 2007)
  • 「김일평 교수 회고록」(『교수신문』, 2012. 3. 13.~ 2013. 8. 14.)
  • 「Ilpyong Kim Interview Narrative」(『East-West Center Oral History Project: Ilpyong Kim』, 2007. 4. 3.)
  • 김일평 교수의 블로그(https://ilpyongkim.wordpress.com)
  • 교수신문(https://www.kyosu.net)
  • 목원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lib.mokwon.ac.kr)
  • 이스트-웨스트 센터(https://www.eastwestcenter.org)
  • ICKS(http://icks.org/n)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