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국

원어 항목명 Eun Guk Kim
한자 金恩國
영문 Eun Guk Ki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세계)/예술인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2년 3월 13일
수학 시기/일시 1938년
수학 시기/일시 1944년
수학 시기/일시 1950년
수학 시기/일시 1960년
수학 시기/일시 1962년
수학 시기/일시 1963년
활동 시기/일시 1947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활동 시기/일시 1964년
활동 시기/일시 1968년
활동 시기/일시 1970년
활동 시기/일시 1983년
활동 시기/일시 1985년
활동 시기/일시 1989년
활동 시기/일시 1990년 10월 20일
몰년 시기/일시 2009년 6월 23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0년 2월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4년
출생지 함경남도 함흥시
거주|이주지 중국 길림성 연길
거주|이주지 황해도 황주
거주|이주지 전라남도 목포
거주|이주지 미국
학교|수학지 평안남도 평양
학교|수학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학교|수학지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학교|수학지 미국 아이오와주
학교|수학지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시
원어 항목명 Eun Guk Kim
성격 작가
성별
정의

미국에서 자전적 소설을 발표하여 이름을 알린 한인 작가.

개설

김은국(金恩國)[1932~2009]은 항일 정신의 가풍이 살아 있는 함경남도 함흥군의 평범한 중산층 농가에서 태어났다. 일제의 핍박과 감시를 피해 만주의 길림성 연길로 이주하였다가 돌아와 평양고등보통학교에서 수학하였으나, 광복 후 북한 지역에 기독교 박해가 확대되면서 월남하였다. 1955년 도미하여 여러 대학에서 수학하며 자전적 소설을 발표하면서, 이민 2세대로서 미국 사회에 한인 문학 세계를 알리는 작가로 자리매김하였다.

활동 사항

김은국은 1932년 3월 13일 함경남도 함흥에서 항일운동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른 아버지 김찬도와 초기 기독교 목사 이학봉의 손녀 이옥현 사이에서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제의 감시와 핍박을 피해 출생 1년 후 연길로 온 가족이 이주하여 연길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1938년에 아버지의 고향 황해도 황주로 돌아와 초등 2학년으로 편입하여 학교를 다녔고, 1944년 평양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북한 지역에서 기독교 세력에 대한 핍박이 심해지면서 김은국의 가족은 1947년에 월남하였는데, 모함과 고초를 겪은 김은국 가족은 다시 목포로 내려가 정착하였다. 서북청년회 목포지부 회원으로 활동하던 김은국은 목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하였으나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육군에 입대하여 육군 보병 중위로 제대하였다.

1955년에 미국으로 건너간 김은국은 「제대군인원호법」에 따라 지원을 받고 미국 미들베리대학[Middlebury College]에 입학하여 정치학을 전공하였다. 1960년 존스홉킨스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를 취득하였으며, 같은 해 2월 페닐로우프 앤 그롤과 결혼하였다. 1962년에는 아이오와대학교[The University of Iowa]에서 ‘작가 워크숍’ 창작 석사를, 1963년에는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극동 언어 및 문학과 문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1964년 김은국은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 같은 해 첫 장편소설 『순교자[The Martyred]』를 발표하였으며, 강용흘에 이어 존 S. 사이먼 구겐하임재단으로부터 창작 기금을 받아 『심판자[The Innocent]』[1968]를 발표하였다. 이후 『잃어버린 이름[The Lost Names]』[1970]을 발표하며 한국계 작가로 미국 사회에 확고하게 이름을 알렸다. 김은국은 한국 단편소설 번역 등으로 한국문학 번역상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으며, 작품 활동을 꾸준히 하다가 2009년 6월 23일 메사추세츠주 슈츠베리 노스앰튼시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은국의 저술로는 『순교자』[1964]와 『심판자』[1968], 『잃어버린 이름』[1970], 동화 『파랑새 이야기』[1983년]와 산문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85], 그리고 포토에세이집 『중국과 소련 그리고 잃어버린 동족들』[1989]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90년 10월 20일 옥관문화훈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뉴잉글랜드 미주 한인이민백주년기념사업회, 『뉴잉글랜드 한인사』(선학사, 2004)
  • 김욱동, 『김은국-그의 삶과 문학』(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이광규, 『뉴욕 한인사회의 현상과 교육문제』(북코리아, 2011)
  • 이동하, 「재미 한인 소설을 통해서 본 한국문화와 미국문화의 만남: 강용흘과 김은국의 경우를 중심으로」(『전농어문연구』15-16 합집, 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2004)
  • 윤정화, 「김은국의 『순교자』론: ‘전해들은 자’의 순교, 이산 작가의 글쓰기」(『현대문학이론연구』45,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 임유경, 「식민의 기억과 고유명의 정치 김은국의 『잃어버린 이름』 연구」(『상허학보』46, 상허학회, 2016)
  • 정주아, 「월남민 김은국의 경계 넘기와 ‘유랑민/세계시민’으로서의 글쓰기: 냉전기 디아스포라 문학의 정치성」(『한국현대문학연구』59, 한국현대문학회, 2019)
  • 대한민국 상훈(https://www.sanghun.go.kr/nation/nationMain.do)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