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영승

원어 항목명 Young Seung Kang
한자 康永昇
영문 Young Seung Kang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인물(세계)/인물(일반)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하와이주  일리노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8년 8월 9일
수학 시기/일시 1913년
수학 시기/일시 1918년
활동 시기/일시 1907년
활동 시기/일시 1909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1년
활동 시기/일시 1922년 2월
활동 시기/일시 1927년
활동 시기/일시 1927년
활동 시기/일시 1929년
활동 시기/일시 1929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활동 시기/일시 1938년
활동 시기/일시 1940년
활동 시기/일시 1944년
활동 시기/일시 1947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활동 시기/일시 1972년
몰년 시기/일시 1987년
추모 시기/일시 2016년
출생지 평안남도 평양시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거주|이주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학교|수학지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학교|수학지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학교|수학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활동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묘소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포레스트 론 드라이브 6300
원어 항목명 Young Seung Ka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총회장
정의

1905년 미국 하와이로 이주한 뒤 미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강영승(康永昇)[1888~1987]은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나 1905년에 하와이로 이민 갔다. 시카고 해밀턴법률대학에서 수학하였으며 1920년에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22년에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총회장을 지냈으며, 흥사단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 시카고지회,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에서 활동하는 등 미주 지역 독립운동과 한인 사회를 위해 일한 인물이다.

가계

아버지는 강익진(康翊晉), 어머니는 황(黃) 마리아[1865~1937, 2017년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부인은 강원신(康元信)[1887~1977,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누나는 강혜원(康蕙園)[1885~1982,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자형은 김성권(金聲權)[1875~1960, 2002년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이다. 조카는 김을(Earl Kim)[1920~1998, 강혜원김성권의 3남], 딸은 강 에스터(Esther K. Ohr)[1923~2005], 사위는 오종구(Fred F. Ohr)[1919~2015]이다.

활동 사항

강영승은 1888년 8월 9일 평안남도 평양 박석골에서 태어났다. 1905년 어머니 황마리아와 아내 강원신, 누나 강혜원, 남동생 강영옥(康永玉)과 함께 하와이로 이민하였다. 하와이 마우이 가파훌루 농장과 오아후 에와 농장에서 일하다가 호놀룰루로 가서 한인기숙학교와 이올라니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이 일어났을 때 의무금을 냈으며, 일제의 조선강점 후 조직된 한인공동회에 참여하고 의연금을 기부하였다. 1909년에는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에서 시찰로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1912년 하와이에서 고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의학을 공부하러 샌프란시스코에 갔다가 1913년경 시카고 해밀턴법률대학[Hamilton College of Law] 통신교수생으로 입학하였다. 샌프란시스코 상항한인교회에서 활동하였으며, 이대위, 강영소 등과 교류하였다. 강영승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관할 클래어몬트 학생양성소에서 한인 교육에 힘썼고, 법률 지식을 활용하여 한인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1917년 대학 졸업 후 시카고로 가서 1918년 박사원에 진학하였다. 1919년에는 국민회 시카고지방회 부회장으로 활동하였고, 1920년에 시카고 미주유학생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20년 「증거주의에 대한 새 규칙」이란 논문으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나 변호사 개업 신청을 거절당하였다. 이후 다뉴바 한인 사회에서 교육활동을 지속하였으며, 샌프란시스코로 돌아와 1921년 대한인국민회의 초등 국어 교과서 『초등국민독습(初等國民讀習)』 편찬에 참여하였다.

1922년 2월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총회장으로 당선되어 1년 동안 국민회를 이끌었으며, 『신한민보』 편집을 담당하였다. 1927년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라성한인장로교회 전도사로 활동하며 한인 학생 교육에 힘썼다.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영향으로 미주에서 학생운동 지원을 위한 한인공동회가 조직되었을 때 로스앤젤레스 공동회의 위원을 맡았다. 같은 해 흥사단에 입단하여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한 흥사단 경제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후 1933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시카고로 이주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중국후원회가 조직되자 중국후원회 시카고지부 조직에 힘썼다.

안창호의 ‘대혁명당’ 조직 구상을 지지하며 1938년 「혁명운동건의서」를 국민회에 제출하였으나 수용되지 않았고, 같은 해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대표를 맡았다. 1940년 흥사단 내부의 진보·보수 갈등으로 인해 출단당하였다. 같은 해 조선의용대 후원회 시카고지회 선전원과,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 시카고 지역 책임자, 『독립』 편집부 등을 맡아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1944년 시카고에서 로스앤젤레스로 다시 이주하였다. 광복 후인 1947년에는 재미조선인민주전선에 참여하였다. 이후 한의학과 서양의학을 독학하여 1955년에 한방원[Korean-Chinese Herb]을 개업하여 운영하였다. 1972년에 『Oriental Medicine In Modern Practice-An Explanation For The Western Layman[현대 의학에서 본 한의학-서양 비전문가를 위한 설명]』[Carlton Press, Inc., 1972]을 출간하였으며, 1987년에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강영승의 저술로는 『Oriental Medicine In Modern Practice-An Explanation For The Western Layman』이 있다.

묘소

강영승 묘소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할리우드 힐스에 있는 포레스트 론 공원묘지[Forest Lawn Memorial Park]에 있다.

상훈과 추모

2016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김원용 지음·손보기 엮음, 『재미한인 50년사』(혜안, 2004)
  • 정병준,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돌베개, 2015)
  • 민병용, 「전대한인국민회 총회장 강영승박사」(『미주이민(美洲移民) 100(년): 초기인맥(初期人脈)을 캔다』, 한국일보사, 1986)
  • 최기영, 「조선의용대와 미주한인사회」(『한국근현대사연구』11, 한국근현대사학회, 1999)
  • 이명화, 「클래어몬트 한인학생양성소 운영과 국어교육」(『한국독립운동사연구』25,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5)
  • 홍선표, 「1930년대 재미한인사회의 진보적 변화와 대응」(『한국민족운동사연구』85,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 윤금선, 「1920년대 미주 한인의 국어 교과서 연구」(『국어교육』155, 한국어교육학회, 2016)
  • 연효진, 「강영승(康永昇)의 미주독립운동 노선과 방략」(『한국근현대사연구』96,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
  • 대한민국신문 아카이브(https://nl.go.kr/newspape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