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Young Moon Kang |
---|---|
한자 | 姜永文 |
영문 | Young Moon Ka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세계)/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일리노이주 시카고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888년 2월 19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3년 12월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
몰년 시기/일시 | 1965년 4월 11일 |
추모 시기/일시 | 2012년 |
출생지 |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면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
거주|이주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활동지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원어 항목명 | Young Moon Kang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강영문(姜永文)[1888~1965]은 식당을 경영하는 실업가로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에서 주요 직책을 맡아 각종 의연금으로 한국 독립을 지원하였고, 시카고 상우회·재미한인상업회의소·한인센터 등을 설립하여 한인 사회의 발전을 도모한 인물이다.
강영문은 1888년 2월 19일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에서 태어났다. 1905년 5월 29일 아버지 강명화가 첫째 아들 강영대, 둘째 아들 강영소 부부와 다섯째 아들 강영각을 데리고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했고, 이후 미국 본토로 건너가 생활 기반을 닦았다. 1913년 셋째 아들인 강영문도 고향을 떠나 12월에 하와이에 도착했다가, 곧 하와이를 떠나 1914년 3월 29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여 미국 생활을 시작하였다.
강영문은 1915년 8월 29일 대한인국민회 다뉴바지방회가 주관한 국치 기념일 행사 때 연설자로 나서 나라 잃은 슬픔과 독립의 각오를 다졌고, 1919년 1월 조직된 대한인국민회 애크론지방회의 서기로도 활동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뉴욕 소약속국동맹회의(小弱屬國同盟會議)와 파리강화회의 한인 대표 파견을 계획한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가 독립 의연금을 모금하기 시작했고, 이후 3.1운동이 일어나자 본격적으로 의연금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강영문은 당시부터 1945년 광복 때까지 대표 의연금, 독립 의연금, 이십일 예납금(二十一例納金), 애국금, 독립 공채(獨立公債), 독립금 등의 이름으로 555.91달러를 의연하였다.
1920년 2월 노백린(盧伯麟)과 김종림(金宗林)이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주 윌로우스(Willows)에서 한인비행학교를 시작하고, 7월 25일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를 돕기 위한 한인 비행가 양성 사업을 조직할 때 서기로 참여하며 한인비행학교의 운영을 도왔다. 1922년 1월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사무원, 1923년 2월 대한인국민회 태프트지방회의 서기 겸 재무로도 활동하였다. 1925년에 둘째 형 강영소와 동생 강영상이 시카고에서 운영하던 양식당 경영에 뛰어든 후 1927년부터 본격적으로 식당 사업을 벌여 크게 성공하였다.
1927년 11월부터 1930년 11월까지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실업부원, 재무, 구제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30년 11월부터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부회장이 되었으며, 시카고 지역 한인 실업가들의 친목과 이익 증진을 위해 시카고 상우회를 설립하였다. 1936년 1월에는 사업 실패를 경험했으며, 1938년에는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집행위원장에 선출되고, 1월에 흥사단에 가입하였다. 중일전쟁 이후 미국 각지의 한인 사회에서 중국후원회가 결성되자, 시카고에서 강영승(康永昇)·장세운·천세헌(千世憲) 등과 중국후원회를 결성하여 중국의 항일 운동을 도왔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대표원과 재무 등으로 활동했고, 한인 사회의 진보적 단체인 조선민족혁명당 북미총지부의 활동도 지지하였다. 1946년 5월 1일 재미 한인 상공인들의 결속과 신생 한국의 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재미한인상업회의소를 조직하며 부회장이 되었고, 1962년 3월 한인센터설립위원회의 발기인이 되어 오늘날 한인회의 설립 기반을 다졌다. 1965년 4월 11일 사망하였다.
2012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