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 현순 외교활동지

한자 -玄楯外交活動地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세계)/터
지역 미국 워싱턴 D.C. 매사추세츠 애비뉴 노스웨스트 1325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1년 4월 14일
소재지 미국 워싱턴 D.C. 매사추세츠 애비뉴 노스 웨스트 1325
원어 주소 1325 Massachusetts Avenue Northwest, Washington, DC 20005, USA
영문 주소 1325 Massachusetts Avenue Northwest, Washington, DC 20005, USA
성격 주미 공사관
정의

1921년 현순이 미국 정부로부터 한국의 독립을 승인받기 위해 미국 워싱턴 D.C.에 설립한 주미 공사관이 있었던 곳.

변천

현순(玄楯)은 1921년 3월 20일 중국 상하이[上海]에 있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에게 주미 공사관 설립을 요청하였다. 이승만은 처음에는 반대하였다가 그해 4월 4일 주미 공사관 설립과 전권공사 임명을 승인하는 영문 전보를 현순에게 보냈다. 그러나 서재필(徐載弼)정한경(鄭翰景) 등이 주미 공사관 설립을 반대하자, 그 의견을 받아들여 4월 7일 이승만은 주미 공사관 설립을 취소하는 전보를 현순에게 다시 보냈다.

현순은 1921년 4월 4일 자 승인 전보를 근거로, 4월 14일 미국 워싱턴 D.C.에 주미 공사관을 설립하고 전권공사를 자임하였다. 현순은 5월 11일 찰스 에번스 휴스(Charles Evans Hughes) 국무 장관에게 한국 독립의 승인을 공식 요청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1905년 한국과 외교관계가 단절된 이후 한국의 요청에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위치

현순이 설립한 주미 공사관은 미국 워싱턴 D.C. 매사추세츠 애비뉴 노스웨스트(Massachusetts Avenue Northwest) 1325에 있었다.

현황

워싱턴 D.C.의 현순 외교활동지였던 주미 공사관 자리는 2022년 현재 미항공관세사협회[National Air Traffic Controllers Association] 회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현순은 미국 정부로부터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공식적으로 승인 받아 주권국가로서의 위상을 갖추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 김도형, 「현순의 주미공사관 설립 추진과 논의」(『한국 근현대사 연구』93,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