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Washington D.C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
---|---|
한자 | 韓國戰參戰紀念碑 |
영문 | Washington D.C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세계)/비 |
지역 | 미국 워싱턴 D.C. 오하이오 드라이브 사우스웨스트 900 |
시대 | 현대/현대 |
건립 시기/일시 | 1995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3월 |
현 소재지 | 미국 워싱턴 D.C. 오하이오 드라이브 사우스웨스트 900 |
원소재지 | 미국 워싱턴 D.C. 오하이오 드라이브 사우스웨스트 900 |
원어 항목명 | Washington D.C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
원어 주소 | 900 Ohio Drive Southwest, Washington, DC 20024, USA |
영문 주소 | 900 Ohio Drive Southwest, Washington, DC 20024, USA |
성격 | 기념비 |
1995년 미국 워싱턴 D.C.에 건립된 한국전쟁 참전 군인 기념비.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벌어진 한국전쟁에는 미국을 비롯해 16개국의 연합군이 참전하였으며 수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다. 이들을 추모하기 위해 워싱턴 D.C.의 내셔널 몰(National Mall)에 한국전 참전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1986년 미국 의회는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국 군인을 기리기 위하여 한국전참전기념물자문위원회와 미국전투기념물위원회가 한국전 참전 기념비의 설계와 건축을 관리하는 법안을 확정하였다. 1992년 기공식을 거행하여 1995년에 완공되었으며, 미국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운영을 맡으면서 국립 사적지로 등재되었다.
한국전 참전 기념비는 미국 워싱턴 D.C. 오하이오 드라이브 사우스웨스트(Ohio Drive Southwest) 900에 있다.
한국전 참전 기념비는 추모의 연못[Pool of Remembrance]을 삼각형 모양의 화강암 벽이 둘러싸고 있다. 벽에는 한국전쟁의 모습을 촬영한 2,500장의 사진을 비롯해 전쟁에 참여했던 군인과 그들을 지원했던 의사, 간호사, 정비병 등과 장비의 사진 이미지들이 모래로 발라져 있다. 벽 안에는 추운 겨울에 우의를 입고 정찰하고 있는 19명의 군인을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는데, 화강암 벽면에 비치면 모두 38명으로 보이면서 삼팔선을 상징한다고 한다.
화강암 벽에는 한국전쟁 중 미군과 연합군의 전사자, 부상자, 실종자, 전쟁 포로 숫자가 기록되어 있으며, “Freedom is Not Free[평화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바닥에도 전쟁에 참전한 모든 이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문구가 적혀 있다.
미국 한국전참전용사추모재단[Korean War Veterans Memorial Foundation, KWVMF]에서 한국전 참전 기념비에 전사자 명단이 새겨져 있지 않은 것을 안타깝게 여겨 추모의 벽을 새로 건립하는 계획을 추진하였고, 2016년 미국 의회와 한국 국회는 추모의 벽 건립 법안과 건립 지원 촉구 결의안을 각각 통과시켰다. 이에 2021년 3월부터 기념 공원 내 추모의 연못을 중심으로 높이 1m, 둘레 50m의 원형 화강암 벽으로 추모의 벽을 조성하여 한국전쟁 전사자 3만 6574명과 한국군 카투사(KATUSA) 전사자 7,000여 명의 명단을 새기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쟁에서 미국의 주도로 구성된 국제연합군은 한국의 자유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국전 참전 기념비는 이를 기리는 동시에 한미 양국의 우호와 동맹을 유지·발전시켜 나가는 상징물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