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Peabody Essex Museum |
---|---|
한자 | -博物館 |
영문 | Peabody Essex Museum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지명(세계)/시설 |
지역 | 미국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에식스 스트리트 161 |
시대 | 현대/현대 |
개칭 시기/일시 | 1992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3년 9월 8일 |
최초 설립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에식스 스트리트 161 |
현 소재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에식스 스트리트 161 |
원어 항목명 | Peabody Essex Museum |
원어 주소 | 161 Essex Street, Salem, MA 01970, USA |
영문 주소 | 161 Essex Street, Salem, MA 01970, USA |
성격 | 박물관 |
면적 | 약 23,000m²[전시 면적] |
전화 | 978-745-9500 |
홈페이지 | 피바디에섹스 박물관(http://www.pem.org) |
미국 매사추세츠주 세일럼에 ‘유길준 전시실’이 마련된 민속 박물관.
1799년에 약 200여 명의 세일럼 지역 무역선 선장과 선주들의 단체인 동인도해운협회[East India Marine Society]가 설립되었다. 동인도해운협회 회원들이 항해를 하며 아메리카 북동 해안, 아시아, 아프리카, 인도, 오세아니아 등지에서 문화 예술품을 수집하기 시작한 것이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건립의 배경이 되었다. 동인도해운협회는 매사추세츠주 에식스 카운티에 설립되어 있었는데, 이 지역의 풍부한 공동체 역사를 기념한 에섹스 역사학회(Essex Historical Society)[1821년 설립]와 에섹스 카운티의 자연경관에 초점을 맞춘 에섹스 카운티 자연사학회(Essex County Natural History Society)[1833년 설립]의 본거지이기도 하였다. 1848년 에섹스 역사학회와 에섹스 카운티 자연사학회가 합병하여 에섹스 연구소[Essex Institute]가 되었다.
1860년대 후반 에섹스 연구소는 지역 예술, 역사, 건축의 수집과 발표로 사명을 가다듬고, 자연사와 고고학 소장품을 동인도해운협회의 후예 조직인 피바디 과학아카데미[Peabody Academy of Science]로 이관하였다. 피바디 과학아카데미는 나중에 피바디세일럼 박물관[Peabody Museum of Salem]으로 개칭한다. 1992년 피바디세일럼 박물관이 에섹스 연구소와 합병하여 피바디에섹스 박물관이 되었다.
피바디에섹스 박물관은 20세기 초에 이르러 국제 예술과 문화의 수집에 주력하였다. 미국에서 가장 오랜 시간 연속적으로 운영되는 박물관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가 길고 복잡하며 1799년 동인도해운협회의 설립을 기점으로 한 일련의 변화와 재창조로 이해해야 한다.
2003년 9월 8일 한국실을 마련하고, 조선의 초대 외교사절단으로 방미한 유길준(兪吉濬)[1856~1914]과 유길준의 미국 생활을 도와 준 초대 관장 에드워드 모스(Edward Morse)와의 특별한 관계를 기념하기 위해 ‘유길준 전시실’이라는 명칭을 부여하였다. 2013년에는 1893년 시카고 만국박람회에 출품되었다가 미국에 기증되어 피바디에섹스 박물관에서 보관해 오던 악기 10점 중 8점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대여되어 전시되었다.
전시 면적은 약 2만 3000m²이다. 해양 예술과 역사를 담은 84만 점 이상의 예술 작품, 미국 미술, 아시아·오세아니아·아프리카 미술, 40만 권 이상의 책과 원고, 문서들을 소장한 두 개의 큰 도서관, 그리고 22개의 역사적인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피바디에섹스 박물관은 미국에서는 동양 미술 수집품을 소장하고 있는 가장 주요한 박물관 중 한 곳이다. 100만 점 이상의 작품과 중국 밖에서 유일하게 완성된 청나라 가옥인 음여당(蔭餘堂)[Yin Yu Tang House]이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