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길준 기념비

원어 항목명 Monument to Yoo Gil-jun
한자 俞吉濬記念碑
영문 Monument to Yoo Gil-ju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세계)/비
지역 미국 매사추세츠주 바이필드 엘름 스트리트 1  
시대 근대/개항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2003년 4월 19일
현 소재지 미국 매사추세츠주 바이필드 엘름 스트리트 1
원어 항목명 Monument to Yoo Gil-jun
원어 주소 1 Elm Street, Byfield, MA 01922, USA
영문 주소 1 Elm Street, Byfield, MA 01922, USA
GPS 좌표 42.752603556584425, -70.89980510343997
성격 기념비
소유자 더머아카데미
관리자 더머아카데미
정의

2003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바이필드 더머아카데미 도서관 앞에 설치한 유길준의 기념비.

개설

유길준 기념비(俞吉濬記念碑)는 2003년 뉴잉글랜드 미주한인이민 백주년기념사업회가 더머아카데미의 도서관 앞에 설치한 기념비이다. 유길준[1856~1914]은 1883년(고종 20) 우리나라 최초로 미국에 파견된 보빙사(報聘使)의 수행원으로 임무를 마친 뒤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피바디에섹스 박물관의 관장인 에드워드 S. 모스(Edward S. Morse)의 집에서 거주하면서 개인지도를 받았다. 1884년 9월 유길준은 에드워드 S. 모스의 소개로 바이필드(Byfield)의 거버너 더머아카데미(Governor Dummer Academy) 3학년으로 입학함으로써 조선 최초의 관비 미국 유학생이 되었다. 그러나 1884년 12월 갑신정변(甲申政變)의 소식을 들은 뒤 학업을 중단하고 유럽을 거쳐 1885년에 귀국하였다. 2003년 4월 19일 더머아카데미유길준의 후손인 유석재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하였고, 뉴잉글랜드 미주한인이민 백주년기념사업회는 유길준을 기리기 위해 학교 도서관 앞에 기념비를 설치하였다.

형태

바위 형태의 돌 위에 동판이 설치되었다.

내용

유길준 기념비에는 “To Honor the Memory of KIL-CHUN YU 유길준 1856-1914 GDA Student 1884-1885 First Korean National to Study in the U.S.A. SOCIAL REFORMER, STATESMAN, EDUCATOR, AUTHOR”이라고 새겨 있다. ‘한국 최초의 국비 유학생으로 1884~1885년 거버너 더머아카데미에서 재학했던 사회개혁가, 정치가, 교육자, 저술가 유길준을 기린다’는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최초의 미국 국비 유학생인 유길준더머아카데미에서 공부했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훗날 개화사상을 형성하고 개혁 정책을 펼쳤다. 한국의 미국 이민 100주년을 맞이해서 뉴잉글랜드 미주한인이민 백주년기념사업회는 이를 기리는 유길준 기념비를 설치하고 제막식을 가짐으로써 한미 우호를 다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 이광린, 『한국 개화사 연구』(일조각, 1969)
  • 이광린, 『유길준』(동아일보사, 1992)
  • 뉴잉글랜드 미주한인이민 백주년기념사업회, 『뉴잉글랜드 한인사』(선학사, 2004)
  • 「미국 속에 숨겨진 한국을 찾는다-유길준 트레일」(『보스톤코리아』, 2018. 10. 1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