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관 터[프레리 애비뉴]

한자 大韓人國民會-地方會館-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세계)/터
지역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시 프레리 애비뉴 2514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8년 3월 1일
소재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시 프레리 애비뉴 2514
원어 주소 2514 Prairie Avenue, Chicago, IL 60616, USA
영문 주소 2514 Prairie Avenue, Chicago, IL 60616, USA
성격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관 건물 터
정의

1918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시 프레리 애비뉴에 설치되었던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관의 건물 터.

변천

1910년에 설립된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는 활동이 그다지 활발하게 전개되지는 못하여 1913년 7월에 해산하였고, 1918년 2월 16일 시카고에 거류하던 한인 15명이 시카고지방회 설립 청원서를 북미지방총회에 제출하여 2월 26일 정식으로 인준을 받았다. 1918년 2월 시카고와 그 인근에 거주하는 한인 15명의 명의로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에 시카고지방회의 설립 청원이 접수되었다. 시카고지방회 설립 청원자들은 정원현, 김경, 장평, 신영철, 조종문, 유재익, 최윤호, 남정현, 홍태호, 이병두, 조규섭, 조종익, 이일, 박봉래, 강영소 등 학생과 사업가들이었다. 『신한민보(新韓民報)』 1918년 3월 7일 자 기사에 의하면, “시카고 지방은 동부 중요 위치에 있어 각처 연락이 편리하며, 다수의 동지가 항상 이곳에 집합하여 장래 북미총회의 한 울타리가 될만한 고로, 북미총회는 인준장을 발급하는 당시 특히 국민회기를 주어 동지방회 설립의 영원한 기념물을 삼게 하였다.”고 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는 1918년 3월 1일 정식으로 설립 기념식을 개최하고, 회장 장평, 부회장 정원현, 총무 김경, 서기 겸 재무 강영소, 학무원 최윤호, 법무원 변성옥, 구제원 이병두를 선출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집회는 매달 두 번씩 진행하고, 지방 회원 월 연금은 30센트로 정하고, 각종 경비를 위한 의연금을 거두기로 하였다. 1918년 12월 4일 통상회에서는 회장 김호연, 부회장 정한경, 총무 김경, 서기 신형호, 재무 김성수, 학무 지용은, 법무 박대일, 구제 조규섭, 대의원 강영소, 실업부원 조종문으로 새로 임원을 선출하였다. 1919년 국내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에서는 3월 10일부터 각 교회를 상대로 대대적인 외교 활동을 전개하여 상당한 동정을 얻었고, 각 지방의 유력자들을 초대하여 대회를 열어 일제의 만행을 규탄하게 하였다. 또한 4월 25일에는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관에서 의연회를 개최하여 의연금으로 1,186달러를 거두기도 하였다.

위치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관[프레리 애비뉴]은 미국 일리노이(Illinois)주 시카고(Chicago)시 프레리 애비뉴(Prairie Avenue) 2514에 있던 장인명의 한인여관에 두었다. 장인명의 한인여관은 『신한민보』 1919년 2월 13일 자 광고에 의하면, “본 여관은 특별히 우리 동포를 위하여 미국 중앙 시카고에 신설해 온 바 숙식 범절을 오늘 시세로 선명하게 차려 놓았다.”고 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관이 있었던 장인명의 여관은 한인 노동자들의 거처이며, 노동을 주선하는 장소였다.

현황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관이며 장인명의 여관이 있었던 프레리 애비뉴 2514는 완전히 없어졌고, 그 자리에 머시 병원과 메디컬 센터[Mercy Hospital&Medical Center] 건물이 세워져 있다.

참고문헌
  •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실태조사 보고서』14(국가보훈처·독립기념관, 2014)
  • 「시카고지방회 설립 청원서」(『신한민보』, 1918. 3. 7.)
  • 「시카고지방회」(『신한민보』, 1918. 3. 21.)
  • 「시카고지방회」(『신한민보』, 1918. 4. 25.)
  • 「시카고지방회」(『신한민보』, 1918. 12. 19.)
  • 「시카고지방회」(『신한민보』, 1919. 5. 3.)
  • 「시카고지방회의 대활동」(『신한민보』, 1918. 5. 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