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Tomb of Howard S. Park |
---|---|
한자 | 朴熙成墓 |
영문 | Tomb of Howard S. Park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세계)/능묘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노스 에버그린 애비뉴 204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조성 시기/일시 | 1937년 |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896년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937년 |
이장 시기/일시 | 2010년 11월 15일 |
현 소재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산 23-1[현충원로 251] |
원소재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노스 에버그린 애비뉴 204 |
원어 항목명 | Tomb of Howard S. Park |
원어 주소 | 204 North Evergreen Avenue, Los Angeles, CA 90033, USA |
영문 주소 | 204 North Evergreen Avenue, Los Angeles, CA 90033, USA |
성격 | 묘지 |
관련 인물 | 박희성 |
미국 캘리포니아주 윌로스 한인비행학교에서 비행술과 군사훈련을 받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육군 비행병 참위로 임명되었던 독립운동가 박희성의 묘.
박희성(朴熙成)[1896~1937, 2010년 건국포장]은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총장 노백린(盧伯麟)과 북부 캘리포니아(California)의 재력가 김종림(金宗林) 등이 캘리포니아주 윌로스(willows)에 설립한 한인비행학교에서 비행술과 군사훈련을 받았다. 한인비행학교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공중전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한인 비행기 조종사를 양성하여 일본과 독립전쟁을 준비하기 위하여 창설되었다.
박희성 등 청년들은 1920년 3월 비행술을 배우기 위해 윌로스 한인비행학교에 입학하여 교육을 받았다. 그러나 그해 가을부터 계속되는 홍수로 인해 재정적 지원을 받지 못해 더 이상 비행학교를 운영할 수 없게 되자 박희성은 1921년 1월 새크라멘토[Sacramento] 비행학교에 들어가 비행술을 연마하게 되었다. 박희성의 비행술이 너무 뛰어나 새크라멘토 비행학교에서는 훈련 경비를 받지 않고 연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 후 박희성은 국제항공 면허를 받기 위해 레드우드시티(Redwood City) 비행학교에 들어갔다. 그는 국제항공 면허 시험 마지막 1,828.8m[6,000피트]를 오르다가 비행기가 고장 나 91.44m[300피트]에서 떨어졌다. 박희성이 면허를 보던 비행기는 완전히 파손되고 박희성은 30분간 기절하였다가 깨어나 병원에서 수술을 받았다. 비행기 추락 사고 이후 박희성은 1921년 5월 22일 새크라멘토 비행장에서 다시 면허 시험을 치렀고, 7월 7일 국제항공 증서를 발급 받았다. 국제항공 증서를 획득한 박희성과 이용근은 7월 18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육군 비행병 참위로 임명되었다.
박희성 묘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노스 에버그린 애비뉴(North Evergreen Avenue) 204 에버그린 공동묘지[Evergreen Cemetery]에 있다.
박희성 묘의 묘비에는 ‘Son of Korea[한국의 아들]’라는 글과 태극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그 밑에 그의 미국 이름[HOWARD S. PARK]과 한국 이름[박희셩]이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