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American University Korean Garden |
---|---|
한자 | -大學校韓國庭園 |
영문 | American University Korean Garde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세계)/시설 |
지역 | 미국 워싱턴 D.C. 네브래스카 애비뉴 노스웨스트 3544 |
시대 | 현대/현대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11년 4월 25일 |
---|---|
최초 설립지 | 미국 워싱턴 D.C. 네브래스카 애비뉴 노스웨스트 3544 |
현 소재지 | 미국 워싱턴 D.C. 네브래스카 애비뉴 노스웨스트 3544 |
원어 항목명 | American University Korean Garden |
원어 주소 | 3544 Nebraska Avenue NorthWest, Washington, DC 20016, USA |
영문 주소 | 3544 Nebraska Avenue NorthWest, Washington, DC 20016, USA |
GPS 좌표 | 38.9368765038402, -77.08743494236961 |
성격 | 정원 |
면적 | 13,000㎡ |
2011년 미국 워싱턴 D.C. 아메리칸대학교 국제대학원 일대에 조성된 정원.
아메리칸대학교 한국정원은 1943년 4월 8일 임시정부 수반인 이승만 초대 대통령과 당시 아메리칸대학교 총장인 폴 더글러스가 한국의 독립을 염원하고 왕벚나무의 원산지가 한국임을 알리기 위해 아메리칸대학교 국제대학원 인근에 한국 제주도산 왕벚나무 4그루를 심은 것을 계기로 건립되었다.
아메리칸대학교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1997년 한국정원을 조성하기로 하고 미국 내 한인 단체와 주미 한국대사관 측에 도움을 요청하였으나 외환위기로 한국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2009년 아메리칸대학교의 총장인 커윈이 한국을 방문하면서 한국정원 건립에 대한 의사를 표명하였고, 국립산림과학원과 아메리칸대학교가 한국정원을 조성하기 위해 아메리칸대학교 국제대학원 일대 1만 3000㎡에 약 4,200만 달러를 투입해 조성 공사를 추진하였다. 2011년 4월 25일 아메리칸대학교 한국정원이 완공되어 주미 한국 대사, 국립산림과학원장, 한인 단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장 기념행사를 가졌다.
아메리칸대학교 한국정원에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기증한 제주도 원산의 왕벚나무를 비롯해 무궁화와 소나무 등 31종 200그루의 나무와 제주도 야생화 300포기가 자라고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와 서귀포문화사업회에서 기증한 돌하르방, 동자석, 정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