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Council to Construct Korean Democratic Society in Toronto |
---|---|
한자 | -韓國民主社會建設協議會 |
영문 | Council to Construct Korean Democratic Society in Toront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74년 4월 19일 |
---|---|
현 소재지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
원어 항목명 | Council to Construct Korean Democratic Society in Toronto |
성격 | 민주화운동 단체 |
설립자 | 문재린[초대 회장] |
1974년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캐나다에서 설립된 한인 민주화운동 단체.
토론토 한국민주사회건설협의회는 1974년 4월 19일 캐나다에서 최초로 한국의 민주화 및 인권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한인 민주화운동 단체이다. 캐나다 한인 동포들이 박정희(朴正熙) 정권의 유신 독재에 반대하여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위한 지원 단체로 조직했고, 토론토 한인연합교회의 이상철 목사와 박찬웅이 중심이 되어 이끌었다. 김지하(金芝河) 석방운동, 인혁당 사건의 진실 알리기, 유신헌법 철폐 요구, 10.26 후 군인의 재집권 금지 요구, 광주민주화운동 진실 알리기, 광주민주화운동 의거 추도 예배 개최, 김대중(金大中) 구출위원회 결성, 김영삼(金泳三) 단식 투쟁 지지 성명, 국내 유명 인사 초청 시국 강연, 부천 성고문 사건 규탄 성명서 발표, 박종철(朴鍾哲) 군 고문치사 사건 성명서 발표 등의 활동을 통해 1970~1980년대에 캐나다에서 한국 민주화운동의 중심기관 역할을 하였다.
토론토 한국민주사회건설협의회는 캐나다에서 한국의 민주화와 인권신장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토론토 한국민주사회건설협의회는 1974년 4월 19일에 설립되어, 1970~1980년대에 지금도 남아 있는 한인연합교회를 중심으로 한국의 민주화운동 지원 활동을 하였다. 초대 회장은 문재린, 총무는 김소봉이었고, 초창기 회원은 50명으로 매달 회비를 내고 정기 월례 회의를 개최하였다. 1977~1978년, 1980년, 198년~1986년에는 박찬웅이 회장을 맡았으며, 2000년대까지도 활동을 멈추지 않았고, 현재도 남아 있다.
토론토 한국민주사회건설협의회는 1970~1980년대에 국내 민주 인사를 초청해 강연회를 열고 독재를 규탄하는 각종 성명서를 발표했으며, 국내 민주화운동 구속자 가족 돕기 지원을 지속적으로 하였다. 1974년 4월에 김지하 석방을 위한 서명운동을 벌였고, 7월에는 석방 탄원서를 한국 정부에 전달하였다. 1975년 7월 인혁당 사건 관련자들이 사형에 처해지자 인혁당 사건이 조작이라고 폭로하였다. 1979년 10.26사건이 일어나자 10월 27일에 긴급회의를 소집해 유신헌법 철폐, 과도 체제 수립, 군인의 재집권 금지를 요구하였다.
1980년 5월에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성명서를 발표하고 『민중신문』을 통해 긴급 구호금을 모금했으며, 6월 29일에는 한인연합교회가 광주의거 추도 예배를 개최하였다. 1980년 7월 31일 김대중이 내란 음모죄로 기소되자 김대중 구출위원회를 결성하였다. 1983년 김영삼이 단식투쟁을 하자 지지 성명을 발표하고 동조 단식을 하였다. 1980년대에 송건호(宋建鎬), 함석헌(咸錫憲), 고영근, 김찬국(金燦國), 이영희(李泳禧), 한완상(韓完相) 등 여러 유명 인사를 초청해 시국 강연회를 가졌다. 1986년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이 발생하자 캐나다 한인여성회 등 3개 단체와 함께 4개 단체 성명을 발표하였다.
1986년에는 회장을 맡고 있던 중심인물 박찬웅이 선거를 통해 제20대 토론토 한인회장에 당선되었고, 1987년 1월 박종철 군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하자 6개 단체와 함께 7개 단체 성명을 발표하였다. 1989년에는 또 한 명의 중심인물인 이상철 목사가 캐나다 최대의 개신교단인 캐나다 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anada] 총회장으로 당선되어 캐나다의 복합 문화주의 정책이 단순한 구호가 아님을 각인시켰다. 이상철은 1924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태어나 7세 때 만주 간도(間島) 지방으로 이주하여 캐나다 연합교회 선교부에서 운영하던 만주 용정(龍井)의 은진중학교를 다녔다. 이후 남하하여 한국신학대학 재학 중에 캐나다인 선교사 교수들에게서 영어회화를 익혀 1961년 밴쿠버 유니온신학교[Union Seminary]로 유학했고, 1969년 토론토로 이주하여 토론토 연합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하였다.
토론토 한국민주사회건설협의회는 1970~1980년대 토론토를 중심으로 한 한국 민주화 및 인권운동에 대한 캐나다 전역의 지원 운동의 전개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