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The First Korean Congress in 1919 |
---|---|
한자 | 第一次韓人會議 |
영문 | The First Korean Congress in 1919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세계)/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19년 4월 14일 |
---|---|
종결 시기/일시 | 1919년 4월 16일 |
발생|시작 장소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시 |
종결 장소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시 |
원어 항목명 | The First Korean Congress in 1919 |
성격 | 독립운동 후원 대회 |
관련 인물/단체 | 서재필|이승만|정한경 |
1919년 4월 14일부터 4월 16일까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시 리틀극장에서 개최된 한국 독립운동 후원 대회.
제1차 한인회의[First Korean Congress]는 미주 사회의 한인들이 3.1운동에 대한 공식 입장을 표명하고 한국의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위해 개최한 대회로서, 미주 한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한국의 독립운동을 후원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3.1운동이 미주의 한인 사회에 알려지면서 한인 이민자들도 한국의 독립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미주 한인들은 3.1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의 방략을 청원 외교 활동에서 선전 외교 활동으로 전환하고, 필라델피아에서 제1차 한인회의를 개최하였다.
제1차 한인회의는 준비가 급하게 이루어지면서 한인들의 수가 적은 미국 동부 지역에서 개최되어 많이 참석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미국 중동부 지역 한인 유학생들의 협조로 대회는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제1차 한인회의를 필라델피아에서 개최한 것은 서재필(徐載弼)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서재필은 실질적인 대회 준비와 운영을 총괄했고, 연사 초청, 장소 선정, 미국 독립기념관으로의 시가행진에 필요한 필라델피아시 측의 협조 등 준비와 관련한 주요 업무들을 전담하였다.
제1차 한인회의가 끝난 후 참석자들은 필라델피아시 당국에서 제공한 군악대의 협조를 받아 한국과 미국의 국기를 양손에 들고 리틀극장에서 미국 독립기념관까지 시가행진을 하였다. 제1차 한인회의의 영향은 미주 한인 사회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축하하는 독립 경축일로 이어졌고, 3.1운동의 열기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