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The Washington Conference Korea Delegation |
---|---|
한자 | -會議韓國代表團 |
영문 | The Washington Conference Korea Delegatio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미국 워싱턴 D.C.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21년 |
---|---|
해체 시기/일시 | 1922년 |
원어 항목명 | The Washington Conference Korea Delegation |
성격 | 외교 사절단 |
1921년 11월부터 1922년 2월까지 열리게 된 워싱턴회의에 참가하기 위해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표단.
워싱턴회의는 제1차 세계대전 후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현안 문제와 해군 군축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1921년 11월 12일부터 1922년 2월 6일까지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국제회의이다.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중국, 벨기에, 네덜란드, 포르투갈 등 9개국이 참가하여 일본의 부상과 소련의 아시아 진출, 한국·중국·인도 등지의 식민지 해방운동 고조 등과 관련한 문제를 논의한 회의이다. 국내외의 한인들도 큰 관심을 가지며 워싱턴회의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상하이[上海]임시정부 외무총장 신규식(申奎植)은 워싱턴회의에 대한 모든 준비를 서재필(徐載弼)에게 위임한다는 국무회의의 의결 사항을 전달하였다. 또한 이승만(李承晩)과 서재필을 한국대표단의 대표와 부대표로, 정한경(鄭翰景)과 프레드 A. 돌프(Fred A. Dolph)를 서기와 고문으로 각각 임명하였다. 이후 임시의정원 의장 홍진(洪震)을 중심으로 한 태평양회의외교후원회와 안창호(安昌浩)를 중심으로 한 외교연구회가 각각 조직되어 워싱턴회의와 관련한 한국대표단의 활동을 적극 후원하였다. 그러나 한국대표단의 열성적인 활약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제는 거론되지 않고 워싱턴회의가 폐회되어 많은 한인들이 실망하였다.
워싱턴회의 한국대표단은 워싱턴 D.C. 시내에 사무실을 마련하고 워싱턴회의에 한국 문제가 상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였다. 1921년 10월 1일 미국대표단 단장인 휴즈에게 한국대표단의 워싱턴회의 참가를 요구하는 청원서를 발송했고, 10월 중순에는 워런 G. 하딩(Warren G. Harding) 미국 대통령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4개조의 요구 조건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미국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군축회의에 드리는 한국의 호소[Korea's Appeal to the Conference on Limitation of Armament]」라는 제하의 호소문도 발표하며 배포하였다.
워싱턴회의 한국대표단은 열성적인 활동에도 불구하고, 이후 한국 독립운동계가 대미 외교 활동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며 외교 활동의 방향을 소련에 집중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