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Keunwha Association |
---|---|
한자 | 槿花會 |
영문 | Keunwha Associatio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28년 2월 12일 |
---|---|
최초 설립지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원어 항목명 | Keunwha Association |
성격 | 여성 독립운동 단체 |
설립자 | 김마리아|황에스더|이선행|우영빈|이헬른|윤원길|김애희|박인덕|김매리 |
1928년 2월 12일 미국 유학 중이던 한인 여성들이 뉴욕에서 결성한 독립운동 단체.
근화회(槿花會)는 미국 동부의 한국 여자 유학생들이 조국 광복 운동을 후원하기 위해 1928년 2월 12일 뉴욕시에서 조직하였다. 김마리아, 황에스더, 이선행, 우영빈, 이헬른, 윤원길, 김애희, 박인덕(朴仁德), 김매리가 발기했고, 회장은 김마리아가 맡았다. 김마리아, 황에스터, 박인덕 등은 국내에서 3.1운동과 애국부인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우연하게 컬럼비아대학교에 재학하게 된 것을 계기로 근화회를 결성하게 되었다. <기관 검색="1" 검색어="근화회">근화회기관> 회장이던 <인명>김마리아인명>는 <기관>애국부인회기관> 사건으로 감옥에서 고초를 겪다가 병보석으로 출소해 몰래 <지명>상하이[上海]지명>로 망명하였고, <지명>상하이지명>에서 <지명>미국지명> 유학을 시도하여 <지명>미국지명> 대학에 진학한 <항목연결 항목ID="GC95103213">신도 학생항목연결>이었다.
근화회는 민족적 정신 고취를 통한 대동단결의 도모와 함께 교육과 실업을 장려하고, 조선의 사정을 외국에 알려 건국 대업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근화회는 미주 지역의 한국 여자 유학생 조직으로 민족정신을 고취하고 조국 광복 운동을 후원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