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원어 항목명 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
한자 大韓民國臨時政府歐美委員部
영문 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지역 미국 워싱턴 D.C.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19년
해체 시기/일시 1928년
최초 설립지 미국 워싱턴 D.C.
원어 항목명 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
성격 독립운동 단체
설립자 이승만
정의

1919년 이승만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설립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외교 담당 기관.

개설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이승만(李承晩)이 1919년 3.1운동 이후 서울에서 조직·선포된 한성정부(漢城政府)의 집정관 총재 직권으로 미국 워싱턴 D.C.에 설립한 기관이다.

설립 목적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는 구미 열강을 상대로 독자적인 외교 선전 활동을 펼치고, 미주 지역 거주 교민들에게 정부나 다름없는 권한을 행사하며 독립공채를 발매하여 재정을 수합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이승만은 1919년 8월 13일 한성정부 집정관 총재 명의로 ‘국채표에 대한 포고문’을 발표하고, 김규식(金奎植)·송헌주(宋憲澍)·이대위(李大爲) 세 사람으로 구성한 ‘재무위원회’의 설치를 공표하였다. 이어 파리강화회의에서 활동했던 김규식이 워싱턴 D.C.에 도착한 다음 날인 8월 24일 이승만은 ‘구미위원부’ 출범을 공포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구미위원부를 통해 미국으로부터 임시정부의 합법성을 인정받고자 했고, 이승만구미위원부의 활동을 미주 지역의 교포에게 선전하며 안정적인 재정을 갖추고자 하였다. 수합한 재정은 임시정부 유지를 위한 지원과 필라델피아와 파리의 한국통신부와 런던사무소의 선전 활동을 돕는 데 사용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는 산하에 있던 지방위원부 조직을 확대하였다. 지방위원부는 미국 본토 25곳, 하와이 11곳, 멕시코와 쿠바 6곳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실제 제대로 운영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구미위원부는 미국 각지의 한국친우회를 결성하는 데에도 큰 힘을 보탰다. 이승만은 임시정부의 대통령에서 해임된 이후에도 구미위원부를 운영하여 그 부당성이 노출되었다. 결국 1925년 4월 임시정부에 의해 구미위원부의 폐지가 결정되었지만, 이승만에 의해 계속 존속되었다가 1928년 재정난으로 문을 닫았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초대 위원장이었던 김규식이 1919년 8월부터 1920년 9월까지 거의 모든 일을 주도하였다. 재정 문제에서는 철저하게 원칙을 지켰고, 수합한 재정의 약 절반은 반드시 임시정부로 보냈다. 구미위원부가 임시정부의 한 기구라는 점을 인식한 김규식의 의지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로 인해 이승만과 김규식 간의 불신과 불화가 시작되었다. 이승만은 1920년 4월 구미위원부에 서신을 보내 구미위원부의 의결 사항은 반드시 자신에게 보고하고 승인을 받으라고 지시하였다. 위원장 김규식의 독자적인 결정권을 빼앗은 것이었다. 이승만송헌주도 자신의 지시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며 불신하였다.

구미위원부를 이끌어 가는 김규식과 송헌주에 대한 불신은 이승만 외에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에서도 일어나고 있었다. 당시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는 이승만의 지지 조직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인 사회는 내부 분열의 모습을 보이게 되었고, 이승만은 7월 30일 송헌주를 해임하였다. 이에 김규식은 8월에 위원장 사임서를 이승만에게 제출하고, 1920년 10월 3일 장기 휴가를 명목으로 워싱턴 D.C.를 떠나 상하이[上海]로 돌아갔다.

의의와 평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는 임시정부를 위한 모금과 함께 미국으로부터 한국의 독립 승인을 받기 위해 설립했으나, 이승만의 독단적인 운영으로 폐쇄되었다.

참고문헌
  • 고정휴, 「이승만과 구미위원부」(『역사비평』16, 역사비평사, 1991)
  • 고정휴, 「구미주차한국위원회의 초기 조직과 활동」(『역사학보』134·135, 역사학회, 1992)
  • 홍선표, 「구미위원부의 설립과 활동(1)」(『독립기념관』6, 독립기념관, 2020)
  • 홍선표, 「구미위원부의 설립과 활동(2)」(『독립기념관』7, 독립기념관, 2020)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