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니 한인타운

원어 항목명 Suwannee Koreatown
영문 Suwannee Koreatow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세계)/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미국 조지아주 그위넷카운티 스와니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현 소재지 미국 조지아주 그위넷카운티 스와니
원어 항목명 Suwannee Koreatown
성격 한인타운
정의

1970년대부터 미국 조지아주 그위넷카운티 스와니에 형성된 한인 상업지구.

개설

애틀랜타의 한인 사회는 1970년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한인 간호사들이 애틀랜타 지역에 진출하였는데, 당시 애틀랜타에서는 한국의 간호사 자격을 그대로 인정하였기 때문에, 파독 간호사들이 미국에 재정착하여 로스앤젤레스[LA], 뉴욕 등을 거쳐 애틀랜타로 이주한 것이다. 그러나 애틀랜타 지역의 한인 사회 규모는 1990년대까지 로스앤젤레스, 뉴욕, 시애틀, 워싱턴 D.C., 시카고 등의 주요 도시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 2000년대 이후 미국 전역에서 나타난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한인들은 부동산 가격과 물가가 비교적 저렴한 애틀랜타와 댈러스로 많이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앞서 1990년대 시작된 대한항공의 애틀랜타 취항과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도 애틀랜타 한인 사회가 성장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으로 이야기된다.

스와니 한인타운은 그위넷카운티(Gwinnett county)의 스와니에 있는 한인 상업 지역이다. 둘루스 한인타운, 도라빌 한인타운, 뷰포드 한인타운, 존스크리크(Johns Creek) 한인타운 등과 더불어 광역 애틀랜타 지역에 형성된 한인타운 중 한 곳이다.

형성 및 변천

광역 애틀랜타에서 한인타운의 중심지는 북동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광역 애틀랜타에서 한인타운이 가장 먼저 형성된 곳은 도러빌(Doravile)이지만, 2000년대 들어 많은 한인이 더 좋은 환경을 찾아 그위넷카운티의 덜루스(Duluth)로 이주하였다. 그다음 덜루스에서 거주하던 한인들이 보다 더 외곽 지역인 스와니로 이동하며 한인타운이 형성되었다.

스와니는 애틀랜타 북동부 교외 지역에 자리한 곳이다. 아름다운 경치와 깨끗한 주택 등 장소성 이미지를 가진 지역으로, 1936년 뷰포드 하이웨이(Buford Highway), 1960년 노스이스트 익스프레스웨이(Northeast Expressway)[I-85]가 놓이면서 인구가 증가하며 도시가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스와니 한인타운은 노스이스트 익스프레스웨이[I-85]에 자리한 쇼핑몰 아씨 플라자(ASSI PLAZA) 스와니점과 대형 한인 마트인 H마트 스와니점을 중심으로 소규모로 형성되어 있다. 광역 애틀랜타 한인 사회에서는 ‘애틀랜타 제2 한인타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현황

미국 조지아주 인구는 2019년 기준 약 1,061만 명으로 추산되며, 거주 중인 한국 동포는 6만 9000명 정도이다. 이를 포함한 조지아주 전체의 재외동포 수는 9만 3000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조지아주에서는 한인 인구가 특정 지역에 집중한 경향을 보이는데, 약 40%가 그위넷카운티에 거주하며, 풀턴(Fulton)카운티와 캘브(Kalb)카운티, 디캘브(DeKalb)카운티 등에도 산재한다. 그위넷카운티에 속한 스와니의 인구는 2019년 현재 2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한인은 약 2,200명으로 스와니 인구의 11%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 이승철·이의한, 「미국 조지아 주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사회의 성장과 공간적 분포」(『한국경제지리학회지』14-2,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 「[2021 그곳에 살고 싶다]〈3〉 스와니」(『미주중앙일보』, 2021. 2 .19.)
  • 뉴욕일보(http://www.newyorkilbo.com)
  • United States Census Bureau(https://data.census.gov)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