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스 버드」

원어 항목명 Lotus Bud
영문 Lotus Bud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934년
배경 지역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원어 항목명 Lotus Bud
성격 희곡
정의

1934년 미국 하와이주 하와이대학교에서 재미 한인 클럽 보성회가 『홍길동전』을 번안하여 공연한 희곡.

개설

1934년 미국 하와이대학교 패링턴 극장(Farrington Theatre)에서 고전 소설 『홍길동전』을 영어 희곡으로 번안하여 공연한 작품이다. 하와이대학교 한인 여학생 클럽이었던 보성회가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행사에서 공연하였다. 「로터스 버드」의 연출자와 주요 배우는 미국인 또는 재미 한인 2세이다. 번안자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미국인 또는 재미 한인 2세로 추정된다. 「로터스 버드」는 숭실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조규익 교수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만난 재미 이민 3세 시인 스테파니 한(Stephanie Han)이 소장하고 있던 대본의 사본을 입수해 국내에 발표하면서 알려졌다. 그러나 스테파니 한이 소장하고 있던 「로터스 버드」 대본은 표지와 중간, 마지막 부분 등 여러 장이 없는 불완전한 대본으로 「로터스 버드」 완본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구성

「로터스 버드」는 고전 소설 『홍길동전』을 차용·각색한 작품이다. 조규익 교수가 확보해 소개한 대본에 의하면 「로터스 버드」는 총 3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1막은 ‘홍 판서의 집 감방’, 2막은 ‘도적의 소굴’, 3막은 ‘또 다른 도적의 소굴인 낡은 절’을 공간적 배경으로 각각 사건이 진행된다.

내용

「로터스 버드」는 번안 작품이라는 점과 번안 과정에서 장르 변화로 인해 원작인 『홍길동전』과 내용상 큰 차이가 있다. 『홍길동전』에서는 처첩 간의 갈등, 적서 차별, 탐관오리의 처단, 이상 국가 건설 등이 이야기의 중심이라면, 희곡 「로터스 버드」는 마치 『홍길동전』과 『심청전』을 섞어 놓은 듯 ‘길동과 연화의 결연’이 서사의 중심을 이룬다. 또한 『홍길동전』에서 강조되었던 홍길동의 영웅적 면모가 「로터스 버드」에서는 퇴색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 문학사에서 외국 작품을 국내에서 번안한 작품은 많지만, 한국 작품을 외국에서 번안해 소개한 사례는 많지 않다는 점에서 「로터스 버드」는 희귀한 자료이다. 「로터스 버드」가 번안되는 과정에서 모티브와 주제, 형식 등이 변화되는 양상은 재미 한인들이 이주지에서 적응하고자 노력한 상황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다. 즉, 「로터스 버드」의 형성 과정에 재미 한인들의 애환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로터스 버드」는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과 미국인들의 합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 조규익, 『홍길동 이야기와 「로터스 버드」』(월인, 2004)
  • 「국어국문학회 전국학술대회 개최」(『연합뉴스』, 2004. 6. 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