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 타이머

원어 항목명 Old timer
영문 Old timer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Old timer
정의

1990년대 이전에 미국으로 이주한 재미 한인 이민자.

개설

미국 이민 정책의 변화와 한국의 경제 발전 수준에 따라 재미 한인 이민자의 미국 생활 적응 방식에 차이가 나타난다. 1976년 미국 정부가 에일버그법[Eilberg Act]으로 전문직 취업 이민을 제한한 후부터 1990년까지 이민자 대부분이 가족 초청 방식으로 입국하였다. 미국 정부는 1990년 다시 이민법을 개정하여 전문직 노동자를 우대하고 가족 이민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그 결과 1970년대 중반부터 1990년까지 가족 초청으로 입국한 이민자들은 이전, 이후 시기의 이민자들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다. 이 시기 미국 이민자들은 한국 정부의 외환 규제 정책으로 인해 적은 액수의 돈만 지니고 입국하였지만, 1990년대 이후 이주한 한인들은 대부분 화이트칼라이며 외환 자유화 정책 덕분에 적지 않은 초기 자본을 가지고 입국한 사람들이었다.

1990년대 이전에 미국으로 이주한 사람을 한인 사회에서는 올드 타이머(Old timer)라고 하는데, 대부분 직업·주거·교육 등 모든 측면에서 도심의 재미 한인 커뮤니티에 의존하였다. 올드 타이머는 정착 초기 도심의 코리아 타운에서 단순 노동이나 서비스직에 종사하여 자본을 모은 다음 소규모 자영업을 시작하고, 교외로 이주하는 패턴을 보인다.

반면 1990년대 이후 이주한 뉴커머(New comer)는 처음부터 가게를 인수하여 사업을 시작하고, 교외에 있는 주택을 구입하여 이민 생활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올드 타이머 중에는 1976년 이전에 의사, 약사, 간호사 등 전문직으로 취업 이민한 사람이나 유학생으로 입국해 학업이 끝난 후에도 미국에 남아 교수, 연구원 등 전문직에 진출한 사람도 적지 않다. 이들은 전국에 흩어져 살며 미국 주류 사회에 진출하여 재미 한인 커뮤니티에서 독립해 살아간다.

참고문헌
  • 『북미주 한인의 역사』(국사편찬위원회, 200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