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원어 항목명 Hanbok
한자 韓服
영문 Hanbok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의복/의복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Hanbok
성격 의복
정의

1900년대 초 미국 하와이주 초기 이민 이후 재미 한인이 입어 온 한국 전통 의복.

개설

미국 하와이주에 이민 온 재미 한인들은 한국인의 전통 의복인 한복을 실생활에 적합하게 개량하여서 생활 의복으로 입었다. 오늘날에 와서 전통 한복은 특별한 행사 때에 즐겨 입고, 개량된 한복은 생활 의복으로 입는 편이다. 대부분의 재미 한인들은 한복을 우리나라의 대표적 문화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 한복의 아름다운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연원

재미 한인 사회에서 생활 한복은 하와이 이민 초기부터 등장하였다. 상대적으로 더운 날씨로 하와이에 거주하는 한인들은 소매 길이나 치마 길이를 짧게 개량한 한복을 입었다.

형태

재미 한인들이 입어 온 한복의 형태는 국내에서처럼 남성의 경우는 저고리와 바지, 여성의 경우는 저고리와 치마가 기본형이다. 재미 한인들은 전통적인 형태의 한복과 더불어 실생활에 적합하게 변형된 형태의 ‘생활 한복’도 즐겨 입는다.

용도

재미 한인들은 교민 행사나 결혼식과 같은 행사에 참석할 경우 한복을 착용하기도 한다. 한복을 착용함으로써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럼에도 재미 한인의 한복 착용은 빈도수가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2005년 2월부터 4월까지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는 재미 한인 197명, 뉴욕에 거주하는 재미 한인 4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평생 한두 번 입어 보았다는 사람이 52.7%, 1년에 한두 번 입는다는 사람이 27.8%로 나타났다. 한복을 입는 경우는 명절[47.9%], 결혼식 등의 가족 행사[38.8%], 교회 행사[21.9%] 등이었다. 일상복이 아니라 특별한 경우에 입는 옷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재미 한인 사회만의 특징은 아니다. 한복은 가격이 비싸고 보관하기 어려우며 양복에 비하여 불편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특별한 경우에만 입는 옷이 된 지 오래이다.

참고문헌
  • 장윤수, 「재미 한인 문화 생활과 민족 문화」(『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6,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05)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