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의 김치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최초 조리|제조 시기/일시 1919년
최초 조리|제조 시기/일시 1930년대
지역 내 재료 생산지 미국 하와이주 오아후섬 호놀룰루시 모아와 스트리트 819-112
성격 음식물
재료 배추
정의

1919년 이후 미국 하와이주 초기 한인 이주자들이 독립운동 기금을 모으기 위해 판매를 시작한 후 상업화된 음식.

개설

초기 미국 하와이 이민자들은 개별적으로 된장, 간장 등 장류와 함께 김치를 담가 먹었다. 김치가 상업화된 계기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기금을 모금하기 위해 판매하면부터였다. 1919년 3·1 운동 소식이 하와이에 전해지면서 한인 여성들은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을 위한 기금을 모으기 시작했다. 여성들이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일은 김치를 만들어 파는 일이었다. 한인들뿐만 아니라 포루투갈인, 일본인, 필리핀인 등 모두가 김치를 사 먹었기 때문에 김치 장사를 통하여 독립운동 기금을 마련하는 일은 꽤 성과가 있었다.

이후 다문화 환경에서 음식 문화가 교류되면서 김치는 본격적으로 상업화되었다. 1930년대에는 한인 2세 조 김(Joe Kim)의 김치 공장이 문을 열었다. 처음에는 ‘다이아몬드 케이 김치’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를 시작하여 미국 본토에도 김치를 공급하였고, 1950년대에는 ‘조 김 김치(Joe Kim Kim Chee)’라고 상품명을 바꾸었다. 1949년에는 하와이의 코할라 지역에서 하나 김 리우(Hanna Kim Liu)가 ‘코할라 김치(Kohala Kim Chee)’를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1952년에 힐로 인근 케에아우 지역에서 임야물이 ‘케에아우 김치(Keeau Kim Chee)’를 상업화하였다. 1950년대 초반 호놀룰루에서는 헬렌 함(Helen Halm)이 ‘함스 김치(Halm's Kim Chee)’를 상업화하였다. 한인 인구가 하와이 총인구의 2%밖에 되지 않았고 더구나 일곱 개의 섬에 흩어져 있는 상황에서 이렇게 여러 상표의 김치가 상업화될 수 있었던 점은 하와이의 여러 민족들 사이에서 김치 문화가 자리 잡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하와이에 도착한 첫 한인 이민단은 오아후섬에 도착하여 와이알루아 사탕수수 농장의 모쿨레이아 지역 한인 캠프 숙소에 여장을 풀었다. 한인 여성들은 개별적으로 된장, 간장 등 장류와 함께 김치를 담가 먹기 시작하였다. 한인 교회에서는 교회 예배 후 식사 때 먹을 김치를 교인들이 직접 담그기도 하였다. 다문화 환경에서 음식 문화가 활발히 교류되면서 김치 문화는 하와이에서 일찍 상업화되었다.

만드는 법

하와이에서 판매되는 김치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한국의 김치와 다를 수 없지만, 그 맛은 덜 맵게 만드는 편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1980년대 하와이의 주요 호텔 뷔페에서 김치가 빠지지 않고 음식 코너에 자리 잡았다는 사실은 당시 김치의 인기를 입증하는 사례이다. 한국 음식은 하와이 음식 문화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 『미국 하와이 지역 한인 동포의 생활 문화』(국립민속박물관, 2003)
  • 이덕희, 「하와이 다문화에 한인 이민자들도 기여했을까?: 하와이 한인 이민사의 경험과 교훈, 1903-1959」(『아시아리뷰』4-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4)
이전 TOP